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한민국 구석구석 숨겨진 가치와 매력을 찾아서

공유
0

대한민국 구석구석 숨겨진 가치와 매력을 찾아서

6월 여행가는 달 한정판 특별 체험

남해군 삼동면과 창선면 사이 지족해협, 마을 가까운 곳에 자리한 죽방렴  /사진=한국관광공사이미지 확대보기
남해군 삼동면과 창선면 사이 지족해협, 마을 가까운 곳에 자리한 죽방렴 /사진=한국관광공사
쪽빛 바다를 품은 남해군, 남해군에서도 삼동면과 창선면 사이 좁고 긴 바다 지족해협은 물살이 세차다. 또한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수심의 깊이가 적당해 죽방렴이 잘 보존된 곳이다. 총 23개소의 죽방렴이 해협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4월에서 11월까지 활발한 어업활동이 이뤄진다.

한국관광공사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지역여행의 매력을 알리고 국내여행을 통해 지역 곳곳에 활력을 더하자는 취지로 3월에 이어 6월 ‘여행가는 달’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
이른 봄에 실시했던 ‘3월 여행가는 달’ 캠페인 기간에 국민총이동량(2억6900만명)과 관광소비액(13조5000억원)이 모두 2023년 동기 대비 약 3.1% 증가해 민생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내수를 진작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월 ‘여행가는 달’ 캠페인은 3월보다도 더 다양한 여행 혜택과 프로그램을 준비했다고 하니, 꼼꼼히 살펴보고 알뜰히 누려보시기를 추천한다.

‘숨은 여행 찾기, 로컬 재발견’이라는 2024년 ‘여행가는 달’ 캠페인 슬로건에는 여행을 통해 지역의 숨겨진 매력을 찾아보자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에 맞추어 6월에도 ‘여행가는 달’ 기간에 한시적으로 개방하는 ‘숨은 관광지’와 체험 프로그램들을 소개한다.

여행지마다 개방 기간이 다르고, 기상 상황이나 현지 사정에 따라 변동 여지가 있으므로 세부 정보를 사전에 관련 지방자치단체 누리집, 관광안내소 등에 확인하고 여행지별 안내 수칙 등을 철저히 준수해야 하는 것은 필수다.

◇지족어촌체험마을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2~3명이 분업해 작업을 하는 죽방렴  /사진=한국관광공사이미지 확대보기
2~3명이 분업해 작업을 하는 죽방렴 /사진=한국관광공사

죽방렴은 대나무(竹)를 발처럼 엮어 세워 고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게 가두는(防) 어업으로 멀리서 볼 때 바다 속에 단순히 울타리가 세워진 것처럼 보이지만 위에서 내려다보면 부채꼴(V) 모양이다. 죽방렴의 역사는 50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종 원년(1496년)에 편찬된 ‘경상도 속찬지리지’에 ‘방전에서 석수어, 홍어, 문어가 산출된다’고 적혀 있는데, 방전이 죽방렴이라 알려져 있다.

죽방렴의 조업 원리는 다음과 같다. 멸치가 해협의 센 물살에 쓸려 부채꼴로 터진 울타리를 따라 들어와 원통 안에 갇힌다. 원통 입구엔 대나무 문이 있는데 물살의 힘에 의해 저절로 닫히게 되어 있다. 원통 안으로 떠밀려온 물고기들은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된다. 다시 바다로 나가겠다고 퍼덕거리는데 이때 탄력이 생겨 맛이 더욱 좋아진다. 이곳 지족해협처럼 시속 13~15㎞의 거센 물살이 이는 곳에서만 가능한 조업이다.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명승)은 국가유산청에서 진행하는 생생국가유산 사업 중 자연유산으로 2024년 선정되어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5월부터 10월까지 날씨와 물때가 알맞은 날에 진행하지만, 여름에는 장마로, 가을에는 수온 하락으로 인해 체험이 어려울 수 있어 국가유산청에서는 6월이 체험에 가장 적합한 시기라고 추천한다.

체험을 하려면 사전예약이 필수다. 6월 체험 가능일자는 22일이며, 6월 한정 특별해설과 죽방렴멸치 기념품도 증정한다. 아이들에게 생생한 어업 현장 체험이다.

잡은 멸치로 바로 음식을 내주기에 멸치의 싱싱한 맛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지족어촌체험마을에는 죽방렴 역사와 구조에 대해 세세하게 알 수 있는 ‘죽방렴 홍보관’과 죽방멸치 제조 과정을 모형으로 전시해놓은 ‘죽방렴 어장막’도 자리한다. 또 실제로 조업이 이뤄지는 ‘죽방렴 관람대’도 있어 물때가 맞으면 조업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하동 섬진강 재첩잡이


쫄깃한 식감의 재첩과 시원한 맛의 재첩국. 부추는 비타민A를 보충하기 위해 넣는다  /사진=한국관광공사이미지 확대보기
쫄깃한 식감의 재첩과 시원한 맛의 재첩국. 부추는 비타민A를 보충하기 위해 넣는다 /사진=한국관광공사

‘섬진강의 보물’이라 불리는 재첩은 모래에 사는 작은 민물조개다. 재첩은 바닷물과 민물이 합쳐지는 지점에 주로 서식한다. 조개를 채취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바닷가 갯벌에서 이루어지는데 비해, 재첩의 무대는 깨끗한 강이다. 하동에서는 재첩을 강에서 사는 조개라고 해서 ‘갱조개’라고도 부른다.

해양수산부는 독특한 어업 문화의 역사 문화적인 가치를 인정해, 2018년 국가중요어업유산 제7호로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을 지정했다. 이어 손틀어업은 2024년 7월 우리나라 어업분야에서는 최초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에 올랐다.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국제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았다 할 수 있다.

손틀어업은 재첩을 채취하기 위해 강에 직접 들어가 강바닥을 긁는 방식이다. 찰랑거리는 강물에 들어가 긴 막대 끝에 부챗살 모양의 긁개를 달아놓은 거랭이로 강바닥을 긁다보면, 안으로 모래와 재첩이 함께 들어온다.

물속에서 거랭이를 살살 휘저으면, 모래가 망 사이로 빠져나간다. 이 과정을 거치고 나면, 거랭이 안에는 재첩이 주로 남는다. 재첩은 4월 중순부터 10월 말 사이에 채취하는데, 이중 재첩 살이 도톰하게 오르는 5~6월이 제철이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