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우건설, ‘안전혁신정책’ 발표...안전·보건 관련 제도 개선 및 예산 확대

글로벌이코노믹

대우건설, ‘안전혁신정책’ 발표...안전·보건 관련 제도 개선 및 예산 확대

안전보건 교육도 강화…VR 장비 활용 추진
협력회사 안전보건활동에 대한 지원도 강화
대우건설은 16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안전혁신정책’을 발표했다. 대우건설 을지로 사옥. 사진=대우건설이미지 확대보기
대우건설은 16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안전혁신정책’을 발표했다. 대우건설 을지로 사옥. 사진=대우건설
대우건설이 2025년을 맞아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안전혁신정책’을 발표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이 내놓은 안전혁신정책은 안전보건활동 지원 및 교육을 확대하고 예산 및 원가 기준을 개선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세부적으로 대표이사와 최고안전책임자(CSO)가 참석하는 안전보건 소통간담회를 운영해 안전혁신정책이 현장에서 이행되는 현황과 안전과 보건 관련 현안을 소통하고 협의할 계획이며, 현장 구성원에 대해서도 안전보건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VR(가상현실) 교육 장비 활용을 추진하기로 했다.

협력회사의 안전보건활동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협력회사의 현장소장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사를 함께 진행하는 중견·중소 업체 안전·보건관리자에 대한 직무교육 과정을 신설해 지원할 예정이다.

또 협력회사의 안전전담자에 대한 인건비 지원도 확대해 안전관리가 세밀하게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예산 계획도 개선했다. 법정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외 안전 추가예산을 확대 편성해 현장 여건에 맞춰 운영되도록 하고 800억 미만의 소규모 현장의 안전예산편성 기준과 안전감시단 배치 및 운영기준도 개선해 확대 배정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안전·보건에 대한 제도 및 예산 전반에 대한 개선과 확대를 강화하고 좀 더 안전한 현장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전사적 노력을 기울여 갈 것”이라며 “이번 안전혁신정책이 끝이 아니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현장의 모든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근무하는 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안전 최우선 문화 정착을 위해 대우건설은 지난 2023년 개발한 모바일 기반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인 ‘스마티(SMARTy)’를 고도화해 활용도를 높였다.

현장소장의 순회 점검을 강화하여 점검결과를 스마티로 등록하도록 의무화하고 현장 전 구성원의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참석을 의무화해 이 역시 스마티로 등록하도록 했다.

또한 근로자의 작업중지시스템을 공유하는 스마티 입력항목도 대폭 간소화해 손쉽게 작업중지요청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