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주택 전세 기피 현상 '심화'...지난해 월세 비중 '역대 최고'

글로벌이코노믹

주택 전세 기피 현상 '심화'...지난해 월세 비중 '역대 최고'

작년 월세 비중 57.7%...2014년 이후 최고치
전세 사기 여파에 월세 전환 속도 빨라져
2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 계약 총 247만6870건 가운데 월세 계약이 142만8950건으로 전체 거래의 57.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빌라 모습.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2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 계약 총 247만6870건 가운데 월세 계약이 142만8950건으로 전체 거래의 57.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빌라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 주택 월세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연립·다세대) 시장의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하고 있어서다.

2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 계약 총 247만6870건 가운데 월세 계약이 142만8950건으로 전체 거래의 57.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법원에 확정일자 정보가 취합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주택 월세 비중은 지난 2020년 40.8%에 그쳤으나 2021년 43.8%로 오른 뒤 2022년에 처음으로 51.9%를 기록하며 전체 전월세 거래량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어 2023년 54.9%, 지난해에는 57%를 넘어서며 불과 4년 만에 41.4% 급증했다.

이처럼 월세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은 지난 2022년부터 불거진 빌라 전세사기 때문이다.

빌라 시장은 최근 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하는 역전세 우려로 한 때 매매가격에 육박했던 전셋값이 떨어지고 전세금 반환 차질을 우려한 임차인들이 보증금을 낮추는 대신 월세로 돌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아파트 월세 비중은 44.2%로 전세사기 문제가 시작된 지난 2022년(43.1%)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반면 전세사기 피해가 컸던 연립·다세대 등 비아파트는 같은 기간 59.5%에서 69.5%로 10%p가 늘었다.

보증금 부담이 큰 아파트는 여전히 임차인이 전세를 선호하지만 빌라는 역전세난 우려에 월세 전환 속도가 더욱 빨라진 것이다.

인천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전세사기 사태 이후 최우선변제금 이하로 보증금을 낮추고 나머지 전세금은 월세로 돌리는 경우가 많다"며 "임대인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기준이 공시가격의 125%로 강화되는 등 보증 요건이 까다로워져 전세금을 낮추고 월세로 돌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최성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ava0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