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대학원은 연구 목적 고려해 차단 제외
![스마트폰에서 딥시크를 사용하는 화면이 떠 있다. 사진=뉴시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2062143410833478e43e3ead11513824142.jpg)
교육부는 6일 입장문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 등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교육부 본부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며 “각급 유·초·중·고교 및 교육부 소속 기관에도 동일한 조치를 안내했다”고 밝혔다.
다만 대학과 대학원은 연구기관의 특성을 고려해 접속 차단 대상에서 제외됐다. 교육부는 “학술연구 및 교육 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 ‘생성형 AI 서비스 활용 시 보안 주의사항 안내’에 따라 신중히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정부 기관들이 딥시크의 데이터 수집 방식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면서 확산됐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3일 각 정부 부처와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에 공문을 보내, 챗GPT와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 시 민감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한 바 있다.
정부의 딥시크 차단 조치는 AI 서비스의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문제를 둘러싼 논의가 지속되는 가운데, 공공기관의 AI 활용 방침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육동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dy33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