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마크 단지 다수 초역세권 입지

19일 부동산인포가 KB국민은행 시세를 토대로 △서울 △부산 △대구에서 아파트와 지하철역이 접해 있거나 출입구로 바로 이동이 가능한 단지 62곳 시세를 조사한 결과, 최근 5년(2020년~2024년) 동안 평균 37.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은 44개 단지에서 38.6% 상승했고 부산은 16개 단지에서 37.0% 올랐으며 대구는 2개 단지에서 18.0% 뛰었다.
이는 같은 기간 지역 내 평균 상승률을 웃도는 수치다. 서울 아파트 평균 시세는 5년간 33.2% 상승했다. 초역세권 단지와 상승률이 5.4%포인트(이하 p) 차이가 난다.
상징성이 높은 랜드마크 단지 다수도 초역세권 입지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2호선의 경우 잠실나루역(장미2차), 잠실역(잠실롯데캐슬·잠실주공5), 잠실새내역(잠실엘스·리센츠·트리지움)은 모두 단지에서 역 출입구로 바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3호선은 타워팰리스 2차가 도곡역과 연결되고, 5호선도 목동 7단지가 목동역과 맞붙어 있다. 6호선 합정역(메세나폴리스), 5호선 공덕역(롯데캐슬프레지던트)도 주상복합 형태로 단지와 지하철역이 직결됐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초역세권 단지는 거주지로서의 가치를 크게 올려 시장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전마진이 높은 곳으로 꼽힌다”면서 “이러한 단지들은 단순히 현재의 가치뿐만 아니라 미래 가치를 고려한 중장기적인 투자 전략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요소”라고 말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