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변수 커졌으나 다방면 참여 모색”

최근 미국과 러시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위한 협상을 진행했다. 다만 우크라이나와 유럽연합은 빠진 상황이라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건설업계 일각에서는 재건 사업이 예상과 다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1일 한 건설사 관계자는 글로벌이코노믹에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더불어 불확실성이 커진 것은 사실”이라면서 “그럼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초기부터 우크라이나 진출을 준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재건 사업 참여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불확실성에서도 움직이고 있는 것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이 건설업체에는 기회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한국토지주택연구원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진출을 위한 전략 수립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종전 후 우크라이나 주택, 인프라, 산업시설, 피난민 지원 등을 재건하는 데에 총 4863억 달러(약 700조6124억원)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한 곳만의 움직임이 아니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두고 내부 논의에 들어간 곳은 더 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우리나라 정부 차원에서 우크라이나를 지원할 수 있는 사업들을 검토 및 분류하는 중”이라며서 “국내 건설사들이나 투자자들이 사업에 대한 검토가 끝나게 되면 차관 제공 사업(대외협력자금을 통한 ODA 사업)을 위주로 진행될 공산이 크다고 보고 있으며 당사도 여기에 맞춰 사업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규모 투자 및 개발사업 참여, 대규모 공사 수주의 경우는 종전 후 우크라이나 정부의 경제, 사회적 안정성이 확보되는 시점에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다수의 건설사가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기회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익명을 요구한 건설사 관계자는 “수익성을 고려해 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라면서 “발전, 인프라는 물론 다양한 분야에서 참여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면서 “종전 이후 발주가 진행되는 것을 지켜볼 것”이라고 언급했다.
기대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생각했던 것보다 국내 건설사가 수혜를 입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피해가 큰 지역이 러시아가 점령한 지역이고 우크라이나에 귀속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 중국 기업에 재건 사업이 돌아갈 수 있다.
우크라이나 지역에서도 전쟁 중 국가별 지원 규모가 중요하게 고려되면 기여 수준이 크지 않은 우리 기업은 고전할 가능성이 있다.
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실장은 “튀르키예 및 유럽연합 건설사들이 이미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건설사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정부 차원의 G2G(정부 대 정부) 협력 및 정책 금융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이 러시아와 협력하는 방향으로 종전을 추진하면서, 기존에 예상했던 미국·유럽연합 주도의 재건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될지 의문”이라며 “미국이 우크라이나 지원을 축소하면, 한국 건설사가 미국 기업과 협력할 기회도 줄어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