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서울 아파트 시장 '혼조세'...토지거래허가구역 인근 '풍선 효과' 감지

글로벌이코노믹

서울 아파트 시장 '혼조세'...토지거래허가구역 인근 '풍선 효과' 감지

송파구 하락에서 상승세로 반등...강남구·서초구 상승폭 감소
'풍선 효과'에 성동구·마포구·강동구·경기 과천·성남 등 상승세
지난달 다섯째 주(3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11% 상승했다. 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달 다섯째 주(3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11% 상승했다. 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및 확대 후 서울 아파트 시장이 강남3구와 용산구 등 주요 지역 간 가격 흐름이 엇갈리는 등 혼조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동구, 마포구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인근 지역에서는 풍선 효과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됐다.

4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3월 다섯째 주(3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1% 상승했다. 이는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및 확대 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주요 지역 간 온도차가 뚜렷해 지고 있다.
강남구(0.36%→0.21%)와 서초구(0.28%→0.16%)는 각각 상승폭이 줄었다.

하지만 송파구는(-0.03%→0.28%) 반등했다. 용산구도(0.18%→0.20%) 소폭 상승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인근 지역에서는 풍선효과도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동구는 전주 대비 0.30% 상승하며 서울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마포구와 강동구 역시 각각 0.18%, 0.15%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또한 준강남으로 불리는 과천이 0.39%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성남시 역시 성남 수정(0.04%→0.27%)과 성남 분당(0.16%→0.24%)에서 각각 상승폭이 확대됐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3일 제5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강남구 압구정 아파트지구 △영등포구 여의도 아파트지구와 인근 17개 단지 △양천구 목동 택지개발사업 14개 단지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1~4구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재지정 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지속적인 추가 규제 강화로 인해 시장에서의 매수심리가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3월 셋째 주(17일 기준) 100.6에서 다섯째 주(31일 기준) 98.7로 하락하며 매수세 약화를 나타냈다.


최성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ava0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