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다시 살아나는 뉴욕증시 · 국제유가 폭락상황 탈출, 코로나 백신 치료제 … 덱사메타손+ 렘데시비르 제약바이오주 후끈

글로벌이코노믹

증권

공유
6

다시 살아나는 뉴욕증시 · 국제유가 폭락상황 탈출, 코로나 백신 치료제 … 덱사메타손+ 렘데시비르 제약바이오주 후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LG화학 삼성SDI 네이버 카카오 셀트리온헬스케어 에이치엘비 셀트리온제약 알테오젠 SK머티리얼즈 급등

미국 뉴욕증시 사진= 뉴시스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증시 사진= 뉴시스
미국 연준의 금융기관 스트레스 테스트와 코로나 2차 봉쇄령 우려로 뉴욕증시와 국제유가가 크게 요동치고 있다. 미국에서는 코로나 확진자 수가 최악이던 4월의 펜더믹 당시 상황보다 더 많아졌다. 일부 주에서는 2차 봉쇄론네 나섰다. 경제 봉쇄는 뉴욕증시와 국제유가 뿐 아니라 비트코인,코스피과 코스닥, 그리고 원달러 환율 등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그동안 나스닥지수 신기록 행진에 앞장을 서왔던 애플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테슬라 니콜라 등 첨단 기술주도 휘청거리고 있다.

미국과 남미 등에서 코로나19(COVID-19)의 급격한 확산으로 세계경제 회복 기대감이 위축되며 각국의 증시가 크게 떨어지고 있다. 국제유가도 급락이다. 이시각 현재 MSCI 전세계지수는 0.2% 하락한 상태이다. .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스트레스 테스트 이후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JP모건, 시티그룹, 웰스파고,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이 와르르 폭락했다. 애플 MS 니콜라 테슬라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등도 흔들렸다.
29일 아시아증시는 급락했다. 일본 닛케이 지수는 2.2% 떨어졌다. 중국증시는 0.9% 하락했다.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국채 가격은 급등하고 있다. 외환시장에서는 6개 주요 통화대비 달러 환율 인덱스가 97.334까지 치솟았다. 달러강제기조이다. 국제금값 현물은 온스당 1773달러이다. 뉴욕증시는 경제회복 낙관론과 미국 등의 코로나19 확산 사이에서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경제지표는 호전되고 있다. 미국 경제가 적어도 지표상으로는 최악의 경기침체를 지났다는 신호가 잇달아 나타나고 있다.

한국 증시의 코스피는 1.93% 내린 2,093.48로 마감했다. 코스피 2,100선이 또 무너졌다. 코스닥 지수도 2.12% 하락했다. 일본 증시 닛케이225지수(-2.30%)와 토픽스 지수(-1.78%)도 크게 내렸다. 중국증시 상하이 종합지수(-0.61%)와 선전 종합지수(-0.44%)도 내렸다. 앞서 지난 주말 뉴욕증시에서는 도 코로나19 환자 증가 소식에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2.84%),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2.42%), 나스닥지수(2.59%) 등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코스피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기관이 3509억원, 외국인이 2341억원 그리고 개인이 5761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삼성전자[005930](-1.69%)와 SK하이닉스[000660](-1.18%)가 하락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3.21%)와 셀트리온[068270](-0.48%)도 내렸다. LG화학[051910](-2.30%), 삼성SDI[006400](-1.89%), 네이버[035420](-1.86%), 카카오[035720](-2.55%) 등도 약세였다.

코스닥지수는 15.89포인트(2.12%) 내린 734.69로 종료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2.29%)와 에이치엘비[028300](-2.51%), 셀트리온제약[068760](-3.37%) 등이 하락했다. 알테오젠[196170](-8.31%)은 급락했다. 반도체 소재 업체인 SK머티리얼즈[036490](5.88%)는 급등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가 경기 팽창 가능성을 의미하는 100을 2년 만에 회복했다.

29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에 따르면 5월 한국의 CLI는 전월보다 0.2포인트 오른 100.0을 기록했다. 한국 CLI가 100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18년 7월(100.0) 이후 약 2년 만이다. 한국의 CLI는 2019년 9월(99.2)부터 전월 대비 기준으로 상승세를 탔다. 여기서 말하는 경기선행지수란 기업 경기 전망, 주가, 자본재 재고, 재고순환, 장단기 금리 차, 교역조건 등 6개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된 것이다. 향후 6∼9개월 뒤 경기 방향성을 예측하는 데 주로 쓰인다. 이번 조사 대상 국가들 상당수가 5월에 CLI가 상승했지만, 100을 넘어선 것은 한국이 유일하다.

이런 가운데 한국 증시의 바이오 업종 주가가 너무 높다는 경고가 나왔다. 뉴욕증시에 기반을 둔 헤지펀드인 돌턴 인베스트먼트의 제임스 임 애널리스트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공매도 금지 해제 등 예상외의 일이 발생하면 개인 투자자들이 일거에 한국 증시를 빠져나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기대감에 힘입어 가격이 급등한 바이오·제약주가 특히 취약한만큼 낙포도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84%나 주가가 올랐다. 셀트리온도 74% 상승하는 등 적잖은 바이오·제약주가 코로나19 관련 수혜주로 거론되면서 크게 급등했다.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MSCI)의 한국 헬스케어 지수는 올해 무려 62%나 올랐다. 이 기간 중 코스피 지수는 4.5% 떨어졌다.

거대한 자금이 펀드에서 빠져나와 직접 주식투자로 유입되는 '머니무브' 흐름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동학개미 운동'의 성공과 잇단 사모펀드 사태로 펀드 등 간접투자 수단에서 자금을 빼 직접 주식투자에 뛰어드는 개인 투자자가 늘어나고 있다. 사모펀드의 돈도 증시로 유입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이날까지 개인 투자자는 코스피(31조5천676억원)와 코스닥(7조4천463억원)에서 총 39조139억원어치 주식을 사들여 상반기에만 40조원에 육박하는 개인 자금이 증시로 몰렸다. 개인 투자자의 코스피 하루평균 거래대금도 1월 3조1천861억원, 2월 3조7천20억원에서 3월 5조3천591억원, 4월 6조3천283억원, 5월 6조4천275억원, 6월 9조738억원(26일 기준)으로 폭발하고 있다.

언제든지 증시에 투입 가능한 대기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사상 최대치인 48조2천68억원까지 부풀었다. 그중 일부 자금이 SK바이오팜 기업공개(IPO)에 따른 청약 증거금 등으로 이탈했지만 여전히 46조3천393억원이 대기하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에서 금융주와 은행주는 미국 연준의 금융기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발료로 크게 흔들리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와 국제유가 그리고 비트코인의 코스피 코스닥 원 달러 환율 등은 스트레스 테스트 폭풍에 휘말려있다.

코로나확진자가 늘면서 뉴욕증시에서는 이를 치료할 덱사메타손과 렘데시비르 등 코로나 치료제, 코로나 백신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렘데시비르 관련주로 한국 증시에서는 파미셀을 비롯해 신풍제약, 진원생명과학 등이 거론된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주말 대형은행들에게 올해 3분기까지 자사주 매입을 중단하고 배당금 지급을 현 수준 이하로 동결할 것을 명령하는 규제 조치를 내놨다. 연준의 이번 조치는 대형 은행들이 극심한 경기침체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을지를 점검하는 연례 '스트레스 테스트'(재무건전성 평가) 직후 나온 것이다. 연준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고려해 실업률을 최대 19.5%로 가정하고 'V'자 형태의 빠른 회복, 좀더 느린 'U'자형 회복, 'W'자 형태의 더블딥(이중침체) 등 3가지 시나리오를 추가로 점검했다. 이 테스트에서 올 테스트 대상인 34개 은행에서 최대 7천억 달러(약 842조원)의 대출 손실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에 달했던 미 은행들의 자본비율이 7.7∼9.5% 수준까지 떨어진다는 결과도 나왔다. 'W'자 시나리오에서는 미국 대형은행의 약 4분의 1이 최소자본 규정을 위반하게 된다고 연준은 설명했다.
연준은 은행의 재무지표 개선을 위해 자사주 매입 금지 등의 대책뿐 아니라 대형은행들에 배당 계획을 다시 제출할 것을 명령했다. 스트레스 테스트가 도입된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이번 주 뉴욕증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봉쇄 조치 강화 가능성이 가장 큰 이슈이다. 미국에서는 6월달 고용과 제조업 지표가 관심이다. 트럼프 정부의 추가 부양책도 변수이다.
미국의 6월 실업률은 12.4%로 5월의 13.3%에서 좀 더 내렸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자리는 315만 개 증가해 5월의 약 251만 개 보다 더 늘었을 것으로 보인다. 경제지표는 그런대로 양호한 편이다. .

미국 상원은 지난주 홍콩 자치권 억압을 지지한 개인과 기업에 제재를 부과하는 '홍콩자치법'을 가결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홍콩 자치권 훼손에 연루됐다고 여겨지는 중국 공산당 관리들에 대한 비자를 제한했다고 밝혔다.여기에 중국이 미중 무역협의 파기로 맞서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의 조짐이 있다.

지난 주말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730.05포인트(2.84%) 급락한 25,015.55에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74.71포인트(2.42%) 떨어진 3,009.05에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259.78포인트(2.59%) 하락한 9,757.22에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한 주 동안 3.31% 하락했다. S&P 500 지수는 2.86%, 나스닥은 1.90% 내렸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일선 주별 대응과 주요 경제 지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은행 스트레스테스트 결과이 변수이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이 사상 최고치 수준으로 증가한 가운데, 일부 주가 봉쇄 조치를 다시 강화하면서 봉쇄에 대한 불안감이 급부상했다.

코로나와 관련하여 가장 많은 확진자를 낸 곳은 미국이다. 미국은 경제활동을 서둘러 다시 시작했다가 재유행을 재촉하는 우를 범했다. 대선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성급함이 사태를 악화시킨 측면이 있다. 방역 실패는 소생하는 듯하던 경제를 다시 흔들 수 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