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유니퀘스트 자회사 에이아이매틱스의 신규사업 진출로 고성장이 전망

글로벌이코노믹

유니퀘스트 자회사 에이아이매틱스의 신규사업 진출로 고성장이 전망

유니퀘스트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1만7000원으로 상향 조정
이미지 확대보기
SK증권 이소중 애널리스트는 유니퀘스트에 대해 비메모리 반도체 중심의 유통전문 업체라고 소개했다. 2020년 1분기 기준으로 전방산업별 매출 비중은 가전 24%, 스마트폰 부품 22%, 통신장비 19%, 자동차전장 18%, 산업용 장비 16%로 구성됐다.

2020년 1분기 별도 기준으로 매출액 918억원(전년동기 대비 25.9%증가), 영업이익은 37억원(전년동기 대비 19.4% 상승)을 기록했다.

2020년 1분기 별도 기준으로 통신장비 사업부문 제외한 전 사업분야에서 매출이 전년대비 증가했다. 통신장비 사업부문의 경우 2020년 3분기 부터 모반디사의 중계기 모듈 유통 매출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유니퀘스트의 자회사 에이아이매틱스는 2021년 매출 400억원대로 전망된다. 에이아이매틱스는 FMS(차량관제시스템)사업을 추진 중이며, 제품 적에 이 가능한 차량대 수 증가로 2021년 매출은 400억원대 발생할 것으로 판단한다.
FMS사업이란 상업용 차량 관리를 위해 업무용 차량에 영상저장, GPS기능 등이 탑재된 장치를 설치해 얻어진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운영 효율을 강화시켜주는 시스템이다.

2020년 6월 50만대의 관리차량을 운영중인 차량관제플랫폼(FMS) 전문업체 PUI 와 계약을 체결했으며, 향후 관리차량 중 일부 차량에 동사의 솔루션이 납품될 예정이다.

유니퀘스트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1만7000 원으로 상향 조정한다. 목표주가는 SOTP 방식으로 유니퀘스트 별도사업의 영업가치와 자회사 에이아이매틱스와 드림텍 지분가치를 적용해서 산출했다.

2020년 매출액은 3957억원(전년대비 18% 상승), 영업이익은 106억원(전년대비55% 증가)을 전망한다. 2021년부터 통신장비 유통 사업부문과 에이아이매틱스의 신규 사업이 동사의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판단한다.

유니퀘스트는 비메모리 반도체 유통 및 솔루션 제공업체다. 사업환경은 ▷ IT기기의 소형화, 고급화 등으로 메모리 및 비메모리 반도체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며 ▷무선통신과 멀티미디어 산업의 발전 또한 반도체 수요를 늘리는 요소로 판단된다.

유니퀘스트는 ▷반도체산업에 속해 있어 경기변동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거시경제 순환 사이클과 연관성이 비교적 큰 편이다. 주요제품은 ▷상품매출 (90.6%) : 반도체IC 및 기타전기 및 영상관련부품 등 ▷ 제품매출 (3.6%) : ADAS 솔루션 및 산업용 모뎀 모듈 등▷기타매출 (4.6%) : 출자조합 관리보수 및 투자주식 배당금 등으로 구성된다.

유니퀘스트의 실적은 ▷전방산업(IT) 경기호황 ▷비메모리 반도체 기술향상 ▷ 자회사의 실적 호조 등이 진행되면 수혜를 입어왔다. 동사의 재무건전성은 중상위등급으로 평가됐으며 ▷부채비율 68%, 유동비율 147%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 19% ▷이자보상배율 10배 등으로 요약된다. 유니퀘스트의 주요주주는 임창환(43,97%) 이혜숙(0.56%) 김동현(0.52%) 기타(0.87%) 등으로 합계는 45.92%다.

유니퀘스트는 비메모리 반도체 중심의 유통 전문업체다. 2020 1분기 기준으로 전방산업별 매출 비중은 가전 24%, 스마트폰 부품 22%, 통신장비 19%, 자동차전장 18%, 산업용 장비 16%로 구성돼있다. 2020년 1분기 별도 기준으로 매출액은 918 억원(전년동기 대비 25.9% 상승), 영업이익은 37억원(전년동기 대비 19.4% 증가)을 기록했다.

2020년 1분기 별도기준으로 통신장비 사업부문 제외한 전 사업분야에서 매출이 전년대비 증가했으며, 통신장비 사업부문의 경우 3Q20 부터 모반디사의 중계기 모듈 유통 매출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유니퀘스트는 비메모리 반도체 유통 및 솔루션 제공업체다. 사업환경은 ▷ IT기기의 소형화, 고급화 등으로 메모리 및 비메모리 반도체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며 ▷무선통신과 멀티미디어 산업의 발전 또한 반도체 수요를 늘리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유니퀘스트는 ▷반도체산업은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거시경제 순환 사이클과 연관성이 비교적 큰 편이다.

유니퀘스트의 주요제품은 ▷상품매출 (90.6% 반도체IC 및 기타전기 및 영상관련부품 등) ▷제품매출 (3.6% ADAS 솔루션 및 산업용 모뎀 모듈 외) ▷기타매출(4.6% 출자조합 관리보수 및 투자주식 배당금)등으로 구성된다.

유니퀘스트의 실적은 ▷전방산업(IT) 경기호황 ▷비메모리 반도체 기술향상 ▷자회사의 실적 개선 등이 진행되면 수혜를 입어왔다.

유니퀘스트의 ▷재무건전성은 ▷중상위등급으로 평가됐고 ▷부채비율 68% ▷유동비율 147%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 19% ▷이자보상배율 10배 등으로 요약된다. 진행중인 신규사업은 미공개상태다. 유니퀘스트의 주요주주는 2020년 4월23일 기준 임창완(43.97%) 이혜숙(0.56%) 김동현(0.52%) 기타(0.87%) 등으로 합계 45.92%다.


홍진석 글로벌이코노믹 증권전문기자 dooddall@g-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