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지난 주말 뉴욕증시는 기업들의 실망스러운 분기 실적과 연방준비제도 즉 연준 Fed의 긴축 우려 속에 기술주들의 매도세가 지속되며 크게 하락했다.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50.02포인트(1.30%) 하락한 34,265.37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4.79포인트(1.89%) 밀린 4,397.94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85.10포인트(2.72%) 떨어진 13,768.92로 거래를 마감했다. 또 S&P500지수는 2020년 6월 이후 처음으로 20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했다. 뉴욕증시에서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한주간 각각 5.68%, 7.55% 떨어졌다. 2020년 3월 이후 최대 주간 하락률을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4.58% 떨어져 2020년 10월 이후 최대 주간 하락률을 나타냈다. 나스닥 지수는 올 들어 12%가량 떨어졌다. 다우존스 마켓 데이타에 따르면 이는 1월 첫 14거래일 기준으로 2008년 이후 가장 부진한 출발이다.
비트코인 가격은 위험자산이 타격을 입으면서 크게 떨어지고 있다. 3만달러 선도 위협하고 있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올해 3월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89.7%로 내다봤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3.26포인트(12.74%) 상승한 28.85를 기록했다.
24일 아시아 증시는 전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조기 긴축 우려에 하락했던 주가를 되돌리며 대부분 상승했다. 중국 증시 상하이 종합지수는 1.54포인트(0.04%) 오른 3,524.11에 마쳤다. 선전종합지수는 4.60포인트(0.19%) 상승한 2,392.24에 마감했다.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서 닛케이225 지수는 전장보다 66.11포인트(0.24%) 오른 27,588.37에 장을 마감했다. 도쿄증시 1부 토픽스 지수는 전장 대비 2.69포인트(0.14%) 상승한 1,929.87에 장을 마감했다.
증시의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일명 '공포지수'라고도 불리는 코스피200 변동성지수(VKOSPI)가 약 2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보였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VKOSPI는 전 거래일보다 10.95% 오른 21.48로 마감했다. 지난해 11월 30일(23.23)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당시 코스피는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오미크론에 대한 우려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코스피는 42.29포인트(1.49%) 내린 2,792.00으로 마감하며 13개월만에 2,800 밑으로 내려갔다. 코스피는 13개월 만에 2,800선 아래로 내려갔다. 삼성전자[005930](-0.66%), 네이버(-1.35%),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0.86%), LG화학[051910](-3.31%), 삼성SDI[006400](-0.29%), 현대차[005380](-1.50%), 카카오[035720](-1.96%), 기아[000270](-1.37%) 등이 일제히 하락했다. 코스닥에서 에코프로비엠[247540](-7.70%), 펄어비스[263750](-7.89%), 엘앤에프[066970](-1.01%), 카카오게임즈[293490](-2.92%), 위메이드[112040](-5.99%), HLB(-3.25%) 등도 하락했다.
김재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iger8280@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