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다우지수는 3.7% 오른 34283.10포인트, 나스닥 지수는 7.4% 상승한 13798.11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달 중순 이후 증시가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이전 수준으로 되돌린 수치다.
상황 반전은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으로부터 시작됐다. 지난 1일(현지시간) 미 재무부는 1120억 달러 규모 국채 입찰(3년물, 10년물, 30년물)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예상치였던 1140억 달러를 하회한 것이다.
통상 단기채 금리는 기준금리에, 장기채 금리는 국가 재정과 경제 전망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또 만기별 국채 물량과 수급에 따라 금리 수준이 결정된다. 파월 의장의 금리 인상에 대한 의지보다 옐런 장관의 발언과 행동에 시장이 더 크게 반응한 이유다.
기준금리 인상은 차치하고 수급적으로만 보면 올해 미국채 금리가 급격히 상승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분명하다. 우선 미국채 큰 손인 중국이 그 비중을 지속 줄여왔다. 여기에 또 다른 주요 고객인 일본(보험사 중심)도 미국채 매수에 적극 가담하지 못했다. 일본 보험사들은 해외투자 시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환헷지를 하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나 환헷지 비용이 미국채 금리 수준을 넘어가면서 매수에 나설 수 없었다.
미 재무부의 미국채 축소 발표로 채권 시장이 안정을 되찾았지만 파월 의장의 금리 인상 의지는 여전하다. 만약 채권 금리가 과도하게 낮아진다면 Fed가 기준금리를 인상할 확률이 높아진다.
하지만 Fed가 무조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이번 국채 입찰 결과를 보면 10년물은 무난했던 반면 30년물은 부진했다. 미 재무부의 국채 규모 축소 발표 이후 30년물 금리 메리트가 현저히 낮아진 탓이다.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의 유입세가 약화된 가운데 남은 물량은 의무로 떠안아야 하는 프라이머 딜러(PD)들의 부담은 더 커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추가 긴축이 이뤄진다면 PD들이 이자율 변동에 노출되는 것은 물론이고 시장 유동성 제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 최악의 경우 미국채 시장이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옐런 장관의 발언과 미 재무부의 국채 발행 축소는 시장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경제 연착륙을 유도한다고 볼 수 있다. 경기 둔화가 확인될 때까지 시간을 버는 셈이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미국채 금리가 5%를 넘어가는 것도 부담이지만 4.5%를 하회하는 것도 부담”이라며 “미국채 유동성 지수가 상당히 위축돼 있어 추가적 긴축 압력은 금융시장 전반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성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sk1106@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