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빗썸 상장’ 고양이 밈코인 MEW, IP 통한 차별성 확보 나선다

공유
0

’빗썸 상장’ 고양이 밈코인 MEW, IP 통한 차별성 확보 나선다

사진=MEW이미지 확대보기
사진=MEW

빗썸에 상장한 고양이 밈코인 MEW가 신규 IP통한 차별성 확보에 나선다.

최근 비트코인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후 박스권 횡보를 유지하는 가운데 알트코인 시장의 하락세가 계속 감지되고 있다.

이에 투자자들의 관심은 가격 등락이 큰 밈코인에 쏠리고 있다.

밈코인은 재미있는 사진이나 영상, 캐릭터 등을 토대로 만들어진 가상자산으로 유명 인사의 발언이나 일부 세력에 의해 가격 변동이 심한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수많은 밈코인은 토큰 발행 후 일주일이 채 되지 않아 사라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OKX와 Bybit에 상장된 고양이 밈코인 MEW(캣인어독스월드)는 다양한 전략과 새 IP확보로 차별성 확보에 나섰다.

MEW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각) 콘텐츠 전문 기업 로커스(LOCUS)와 파트너십을 체결, 향후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시리즈 제작을 발표했다.

평소 MEW의 X(구 트위터)에는 자체 캐릭터 사진이나 3D 영상이 많이 업로드되는데 이는 장난감 등 굿즈와 게임,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초석으로 전해졌다.

개구리 밈코인 페페 등 타 밈코인은 자체 IP 없이 온라인상의 사진이나 제3자의 창작물을 이용해 만들어진 경우가 많아 IP 사업을 진행하는데 법적으로 제약이 있었다.

웹3 시장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는 대체불가토큰(NFT) 프로젝트 퍼지펭귄이 있다. 퍼지펭귄은 8888마리 펭귄 캐릭터로 구성된 NFT로 지난해 9월 IP를 활용한 장난감 사업을 시작한 뒤 미국 월마트와 아마존에서 1000만 달러 이상 매출을 올린 바 있다. 지난달엔 롯데그룹 계열사 대홍기획과 IP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 국내 시장에 이름을 알렸다.

기존 밈코인이 웹3 유저 위주의 커뮤니티 형성과 문화를 지향했던 반면 MEW는 IP 사업을 통해 일반 유저가 사용하는 웹2까지 영역을 확장, 다양한 팬덤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MEW는 지난 7일 국내 거래소 빗썸에 상장돼 한국 시장에서도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빗썸 상장 공지 후 글로벌 시장에서 약 40% 반등하기도 했으며 상장 후에도 빗썸 내 많이 검색된 코인 리스트에도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