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은 2024년 말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배당기준일을 3월, 6월, 9월말로 규정한 부분이 삭제됨에 따라 올해부터 분기배당도 이사회 결의로 배당액을 확정한 이후 배당받을 주주를 결정할 수 있게 됐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2023년 금융위와 법무부등은 글로벌스탠다드에 부합한 배당절차 개선안을 마련해 발표한 바 있다. 개선방안에는 배당액을 보고 투자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의결권 기준일과 배당기준일을 분리하고, 배당기준일을 주총 이후로 지정하도록 했다.
이 개선방안에 따라 작년 말 기준 상장사의 43.2%(1천8개사)가 정관을 개정했고, 그중 109개 상장사가 변경된 절차에 따라 결산배당을 실시했다.
작년에 이미 결산배당에 관한 정관 변경을 했더라도 올해 분기배당을 하기 위해서는 정기 주총에서 분기배당 관련 개정사항을 정관에 반영해야 한다.
이미 정관을 개정한 회사는 배당액 결정기관,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여부, 향후 계획과 함께 사업보고서 작성대상 기간 중 결산배당 실시 여부,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설정 현황 등을 정기보고서에 기재해야 한다.
금감원은 "투자자들은 배당 관련 투자의사 결정 전에 한국거래소, 한국상장사협의회, 코스닥협회 홈페이지에서 배당기준일과 배당액을 반드시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