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투자 참여 확대 "과거 패턴 유효하지 않아"
2026년, 4년 주기 모델의 '시험대' 될 전망
"ETF가 판도 바꾼다" 4년 주기 붕괴론 확산
2026년, 4년 주기 모델의 '시험대' 될 전망
"ETF가 판도 바꾼다" 4년 주기 붕괴론 확산

과거 비트코인 가격 예측의 주요 지표로 여겨졌던 4년 주기 모델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4년 주기 모델, 과거의 영광일 뿐인가
10일(현지시각) 암호화폐 전문매체 크립토 뉴스에 따르면 최근 X(구 트위터)에서 진행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참여자들의 52%가 비트코인 4년 주기 모델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는 과거 비트코인 가격 예측의 주요 지표로 여겨졌던 4년 주기 모델에 대한 신뢰도가 점차 하락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4년 주기 모델은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가 설계한 '반감기' 메커니즘에 기반한다. 약 4년마다 비트코인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들면서 신규 공급량 감소로 인한 가격 상승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최근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 증가와 제도권 편입 가속화로 인해 시장 환경이 변화하면서 4년 주기 모델의 유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변화하는 시장 환경, 4년 주기 모델의 종말을 예고하나
4년 주기 모델의 종말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인물은 싱크러시 캐피털의 공동 창립자 라이언 왓킨스이다. 그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으로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가 확대되면서 비트코인 시장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한다.
왓킨스는 "비트코인 ETF 도입은 기관 투자자들이 합법적인 조건으로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트코인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것"이라며, "이제 비트코인은 대중화, 성숙, 확실성의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며, 정부와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육성하고 가격 변동성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주장은 과거 4년 주기를 통해 예측 가능했던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이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 증가와 시장 성숙으로 인해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과거처럼 반감기에 따른 급격한 가격 상승과 하락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4년 주기 모델, 여전히 유효하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아
하지만 여전히 많은 전문가들은 4년 주기 모델이 유효하다고 믿고 있다. 가장 최근의 반감기는 2024년에 발생했으며, 2025년 비트코인 가격은 이미 역사적 최고치를 경신하며 4년 주기 모델의 논리를 뒷받침하는 듯 보인다.
하지만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강세장을 온전히 누리기 어렵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무역 전쟁과 같은 변수가 암호화폐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2026년, 4년 주기 모델의 '시험대' 될 것
만약 4년 주기 모델이 여전히 유효하다면, 2026년은 약세장의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2026년 암호화폐 시장의 상황은 4년 주기 모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시금석이 될 것이다.
4년 주기 모델은 과거 비트코인 가격 예측의 주요 지표였지만, 변화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그 유효성에 대한 논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논쟁을 예의주시하며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