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비트코인 컨퍼런스 ‘비트코인서울 2025’ 내달 개최

글로벌이코노믹

비트코인 컨퍼런스 ‘비트코인서울 2025’ 내달 개최

아시아 최대 규모의 비트코인 컨퍼런스 ‘비트코인서울 2025’가 오는 6월 4일부터 6일까지 서울 광진구 PIE FACTORY에서 열린다. 사진=비트코인서울이미지 확대보기
아시아 최대 규모의 비트코인 컨퍼런스 ‘비트코인서울 2025’가 오는 6월 4일부터 6일까지 서울 광진구 PIE FACTORY에서 열린다. 사진=비트코인서울

아시아 최대 규모의 비트코인 컨퍼런스 ‘비트코인서울 2025’가 오는 6월 4일부터 6일까지 서울 광진구 PIE FACTORY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ETF 승인 이후 변화된 기관 투자 행태와 상장사의 비트코인 재무 전략, 그리고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신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글로벌 기업들의 실제 비즈니스 모델을 한자리에서 조망한다.

6월 5일에는 제도권 상장사들의 비트코인 전략 채택 사례가 집중적으로 소개된다. 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Metaplanet)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전략을 벤치마크해 아시아 최초로 비트코인을 기업 자산 포트폴리오에 편입했으며, 유럽의 더블록체인그룹(The Blockchain Group)은 EU 상장사 중 처음으로 비트코인 중심의 재무 전략서를 공식 발표하고 회계 시스템에 반영했다.

이번 무대에는 이 전략을 단순히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결정을 실제로 이끌었던 경영진과 핵심 인물이 직접 참석해, 상장사 차원에서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채택하게 된 배경과 전략적 고려 지점을 공유할 예정이다.

6월 6일에는 ‘Bitcoin Finance Forum’을 통해 보다 깊이 있는 금융·경제 관점의 논의가 이어진다.

이 세션에는 글로벌 투자 팟캐스트 ‘Investor’s Podcast’의 공동 진행자이자 자본시장 분석가인 프레스턴 피시(Preston Pysh), 그리고 비트코인의 경제적 내재가치와 채택 모델을 심층적으로 다뤄온 스테판 리베라(Stephan Livera)가 함께 무대에 오른다.

두 연사는 비트코인을 둘러싼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의 변화, ETF 승인 이후의 투자 전략 재편, 전통 금융과 비트코인 금융 간의 구조적 차이 등을 중심으로 발표와 대담을 이어간다.

이 세션은 단순한 가격 전망이나 기술 소개를 넘어, 비트코인의 자산화 흐름이 기존 금융 질서에 갖는 의미와 제도권 투자자들이 이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자리로 구성된다.

또한 같은 날 발표에 나서는 비트코인 기반 혁신 비즈니스 기업들도 주목받고 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반의 대표적인 결제 솔루션 ‘Wallet of Satoshi’는 간편한 사용자 경험과 글로벌 호환성을 바탕으로 누적 2,200만 건 이상의 결제를 처리하며, 비트코인 실사용 인프라의 대표 사례로 자리잡았다.

‘Meanwhile’은 세계 최초이자 현재 유일하게 비트코인 기반 생명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여기에 비트코인 생태계에 특화된 벤처 투자 펀드인 The Bitcoin Ecosystem Fund의 존 리긴스(John Riggins)도 연사로 참여해, 전 세계 비트코인 기반 창업 기업들의 성장 사례와 생태계 투자 트렌드를 소개할 예정이다.

행사 관계자는 “비트코인서울 2025는 단순한 기술 중심의 컨퍼런스를 넘어, 회계, 재무 전략, 리스크 관리 등 전통 금융 시스템의 핵심에 비트코인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를 실전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리”라며 “비트코인의 실질적 재무 수용 흐름과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무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트코인서울 2025는 AI 기반 실시간 통역 시스템을 통해 언어 장벽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연사 라인업과 참가 티켓 등 행사 관련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