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il의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은 215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전자로 전환하며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윤활 부문의 안정적인 수익성에도 불구하고 정유와 화학부문 적자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동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정유부문 영업손실은 568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전환했다”며 “이는 지난해 증설된 대규모 정제설비들의 램프업 효과로 역내외 가솔린 및 나프타 크랙이 약화하고, 등유와 경우도 성수기 효과가 일부 소멸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화학부문 영업손실은 754억원으로 전분기에 이어 적자를 지속했다. 올레핀부문은 지속적인 공급 과잉 상태에 놓였으며, 아로마틱부문은 미국의 관세 부과 우려로 벤젠 수출이 감소하며 다운스트림 고순도테레프탈산(PTA) 정기보수로 인해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가 축소, 부진한 성과를 기록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윤활부문은 봄철 윤활유 교체 시즌으로 수요가 회복되며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의 영업이익을 유지했다"고 판단했다. 올해 상반기를 저점으로 실적이 바닥을 찍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멕시코와 중국 등 일부 신규 정제설비들의 가동에도, 올해 세계 정제설비 일일 순증 물량은 20만배럴으로 전년 대비 크게 감소할 전망”이라며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에서 노후화되고 경제성이 낮은 정제설비의 폐쇄가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공급 증가가 제한적인 가운데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으로 휘발유, 등유, 항공유, 경유의 수요 순증은 작년 대비 17% 증가하며 정제 마진 개선을 견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아시아 석유 시장 점유율 회복을 목표로 공식 판매가격(OSP)을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인하한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은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appyny777@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