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제성장률
미 중앙정보국 CIA에서 발표한 ‘The World Factbook’에 의하면, 2018년 초 기준 카자흐스탄의 석유 매장량은 세계 12위로 확인 매장량이 300억 배럴이며, 천연가스 매장량은 세계 15위로 확인 매장량이 2,407조 큐빅미터(cu m, 1큐빅미터=1,000리터)이다. 광물자원의 경우 우라늄, 크롬, 구리, 연·아연, 은, 중석, 망간 등이 세계 10위 내의 매장량인 상황이며, 희토류, 철, 몰리브덴, 티타늄, 니켈 등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풍부한 자원 보유량을 바탕으로 카자흐스탄은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여왔고, 국제유가가 크게 상승했던 2000년대에는 연 10%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2009년 글로벌 경제위기 시기에 1.2%로 경제성장률이 크게 하락하였고, 2017~2019년도에 이르러서는 4.1~4.5%의 안정적인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카자흐스탄의 2020년 PPP 기준 1인당 GDP는 CIS 국가 중, 러시아 다음으로 높은 수준(26,000 달러)이다.
이처럼 구 소련 중앙아시아 국가 중 최고의 경제규모를 자랑하는 카자흐스탄의 성장률을 뒷받침하는 주요 수출품목은 원유, 천연가스, 우라늄 등의 자원과 농산물이 있다.
하지만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한 경제 활동 위축과 유가 하락으로 카자흐스탄의 GDP는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다. 카자흐스탄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카자흐스탄의 대외 무역 규모는 전년대비 13.0% 감소했다(수출 -19.1%, 수입 -4.1%). 고정 자산 투자도 3.4% 감소하면서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고 록다운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산업 중 하나인 서비스업은 연말 항공편과 요식업계 제한조치가 완화되면서 어느 정도 회복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5.4%의 역성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2020년 카자흐스탄의 경제는 3~4분기, 다소 활력을 되찾았음에도 성장률 -2.6% 수준으로 하락하게 되었다.
2021년 카자흐스탄 경제는 대국민 백신접종 및 국제유가 회복 등으로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카자흐스탄 총리에 따르면 '21년 상반기 실질 GDP 증가율은 2.2%를 기록했다. EIU는 올해 카자흐스탄 경제성장률을 3.7%로 전망하고 있다. 단, 델타 바이러스 침투에 따른 여파 등으로 실질적 성장률은 2-3%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 금리
2020년은 유가하락과 코로나 사태로 텡게화가 급격하게 평가절하되면서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3월, 금리를 12%로 인상했다. 그러나 코로나로 극심한 국내 경기 침체가 예상됨에 따라 총수요 자극을 위해 4월, 다시 9.5%로 금리를 인하하였다. 그리고 2차 락다운이 실시된 7월 9.0%로 추가 인하하였고, 2021년까지 6월까지 유지되었다. '21년 상반기 경제가 회복세를 띄면서 금리는 상향조정 되었고, 7월 9.25%로 조정된데 이어 9월 9.5%로 인상되었다.
3) 환율
2020년 카자흐스탄의 환율은 유가의 하락으로 급격히 상승했다. 2020년 3월 텡게화 가치는 16% 이상 하락하여 환율이 달러당 450텡게까지 올랐으나 7월에 달러당 407텡게 수준으로 회복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의 위험, 경상 수지 적자, 투자자의 위험 회피 경향, 실질 금리 축소 등으로 텡게화의 약세는 2020년 중 지속되었고, 최종적인 2020년 평균환율은 전년대비 7.86% 상승한 달러당 412.95텡게를 기록하였다.
2021년은 국제 석유시장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지속되고, 실제로 유가가 회복되고 있으나 달러-텡게화 환율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평균환율은 419.7 텡게로 '20년 평균 대비 1.6% 상승하였으며, 2분기 평균환율은 426.47 텡게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결과적으로 전년대비 환율 상승세는 여전히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며, 카자흐스탄 경제부 장관은 달러-텡게화 평균환율이 2020년 대비 2.9% 상승한 달러당 425 텡게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4) 물가
2020년은 환율 폭등 및 코로나로 인한 공급 차질 우려로 식료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소비자 물가가 크게 증가했다. '20년 물가상승률은 7.4%(EIU)로 2019년(5.4%, EIU) 대비 급격히 상승했다. 연초 2021년은 다소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 중이다. '21년 1월, 전년 동월대비 7.4%를 기록했던 물가상승률은 8월이 되어 8.7%를 기록하였다. 2021년도 달러화 대비 텡게화의 약세 및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의 저금리 정책 등이 물가상승률에 지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