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정명 |
체결국가 |
체결일자 |
발효일자 |
비고 |
SAARC (South Asia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몰디브, 네팔, 스리랑카, 파키스탄 |
1985-12-08 |
1985-12-08 |
평화, 자유, 사회 정의와 경제 번영을 위해 연합국의 상호 이해 및 이웃 협력 강화를 위한 것으로 일종의 지역 안보 색채가 강한 연합이다. 그러나 인도-방글라데시, 인도-파키스탄 등과의 국경 및 외교 분쟁, 네팔의 정치 불안 등으로 실질적인 지역 연합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
BIMSTEC (Bengal Initiative for Multi-sectoral Technical and Economic Cooperation) |
태국, 방글라데시, 인도, 미얀마, 스리랑카, 네팔, 부탄 |
1997-02-01 |
1997-02-01 |
벵골만에 위치한 서남아(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네팔, 스리랑카)와 동남아(미얀마, 태국) 7개국의 경제통상협력체로 태국의 주도에 의해 1997년 발족했다. 2004년 방글라데시를 제외한 6개국이 태국에서 기본 협정에 서명하고 2017년까지 협정국 간 FTA를 체결하기로 합의하였으나 2021년 5월 현재까지 협상이 진행 중이다.(방글라데시는 시장개방에 따른 최빈개도국에 대한 보상 등을 요구중) |
SAFTA (South Asia Free Trade Agreement) |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부탄, 몰디브, 아프가니스탄 |
2006-07-01 |
2006-07-01 |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부탄, 몰디브, 네팔, 스리랑카 등 SAARC 회원국들이 2006년에 SAFTA를 체결하여 서남아시아 역내 관세를 철폐하기로 합의하였다. |
(LDC) 최빈개도국에 대한 특혜관세 |
방글라데시를 포함 2007년 UN이 정한 최빈개도국 50개국 |
2008-01-01 |
2008-01-01 |
2005년 12월 세계무역기구(WTO) 홍콩 각료회의 합의사항으로 우리나라는 2006년 3월 대통령의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한국이니셔티브 선언 이행을 위해 최빈개발도상국(Least Developed Countries)에 대해 특혜관세를 공여하는 규정을 발표하였다. |
APTA (Asia Pacific Trade Agreement) |
한국· 인도·스리랑카·방글라데시·라오스 |
2018-07-01 |
2018-07-01 |
2017년 1월 태국 방콕에서 제4차 각료회의 개최하고 각료 선언문을 발표했다. 2018년 7월부터 발효되어 특혜관세를 적용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