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03 18:03
‘“2030 팬슈머 공략”…아모레퍼시픽, ‘안소희’ 뷰티 브랜드 만든다’ 지난주 통신사에 올라온 뉴스다. 제목부터 외국어다. ‘팬슈머’와 ‘뷰티 브랜드’가 기사 방향을 보여준다. 팬슈머는 MZ세대에 맞춰 자주 모습을 보이는 마케팅 용어다. 팬(fan)과 소비자를 뜻하는 컨슈머(consumer)의 합성어다.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이나 브랜드와 관련된 상품 제작, 소비에 깊게 관여하는 사람을 말한다. 다음 기사를 보면 이해가 빠르다. 아모레퍼시픽은 기사를 통해 “배우 안소희가 기획·개발에 직접 참여한 뷰티 브랜드 ‘온호프’를 론칭한다. 온호프는 ‘편안한 저녁,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안락한 삶의 루틴을 제안한다’는 슬로건을 내건 브2021.07.30 17:47
삼성전자는 다음 달 11일 언팩 행사에서 ‘갤럭시 Z폴드 3’와 ‘갤럭시 Z플립3’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웨어러블 기기 갤럭시 워치4공개!헬스케어 기능 추가!신제품 공개 소식과 함께 갤럭시 언팩 티저 이미지도 등장했습니다.기사에는 많은 외국어가 보였습니다.우리말로 대체해 쓰기 힘든 것도 많았습니다.언팩 = ‘포장하다’라는 뜻의 영어 단어 팩(pack)+반대 의미 접두사 언(un)‘신제품 공개’라는 국립국어원이 다듬은 쉬운 말이 있습니다.폴더블폰 = 화면이 접히는 스마트폰파트너 = 협력사, 협력업체, 거래 업체우리말인 것처럼 느껴지는 외래어들이 점점 늘어납니다.플렉스 모드(flex mode) = 위아래로 접는 갤럭시Z플립갤2021.07.29 13:36
삼성전자는 다음 달 11일 언팩 행사에서 ‘갤럭시 Z폴드 3’와 ‘갤럭시 Z플립3’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기사를 통해 “3세대 갤럭시 Z 폴더블폰에서는 한층 최적화된 앱 사용 경험을 선사하고자, 많은 파트너들과 협력을 강화했다”며 “플렉스 모드로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거나, 핸즈프리에 최적화된 구글 듀오 비디오 콜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팀즈를 활용한 멀티태스킹을 실행하는 등 다양하고 최적화된 폴더블 경험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또 “웨어러블 기기 갤럭시 워치4도 선보이는데 헬스케어 기능을 담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 같은 소식과 함께 갤럭시 언팩 티저 이미지도 등장했다. 기사2021.07.27 16:28
MZ세대, 힙한 브랜드, 역(逆)멘토링, 트렌드, 라이프스타일, ‘자이낸스(Z+finance)’ 시대, 핫플레이스, 크리에이터, 플랫폼, 파이어족, 메타버스, 버추얼 모델, 파킹통장, 상담 부스. 경제신문 ‘MZ세대 금융’ 기획 기사에 나온 외국어들이다. MZ세대를 다룬 기사답게 곳곳에 ‘그들의 언어’가 보인다. 이 말들은 신문과 방송에서도 여과 없이 사용, 우리말로 취급 받는 외래어가 되어가고 있다. “MZ세대요? 젊은 세대 말하는 것 아니에요?” 기성세대인 ‘라떼세대’에게는 ‘MZ’ 뜻부터 명확하게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는다. MZ세대는 1980~2000년생 밀레니얼(Millennial), 1990년대 중반~2000년생 Z세대를 합친 말이다. IT 기2021.07.23 19:32
경기도는 지난해 1월 '국적 없는 공공언어 114개 퇴출'을 선언했습니다.일본어 투, 어려운 한자어, 외국어·외래어, 차별적 용어 등 4개 분야가 공공언어로 선정됐습니다.경기도는 각종 공문서와 자치법규 등에 순화된 대체어를 사용하고, 공공기관과 시군에도 이를 권고했습니다.'공공언어 퇴출' 1년 6개월이 지난 지금은 어떻게 변했을까요?경기도청 누리집을 살펴봤지만 변한 게 없어 보입니다.'국적 없는 공공언어'는 여전히 도청 누리집에서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경기도가 퇴출하겠다는 '국적 없는 공공언어'들 거번넌스 = 정책, 민관협치, 협치컨설팅 = 조언, 상담다운로드 = 내려받기홈페이지 = 누리집'퇴출 명단'에는 없지만, 이외에2021.07.22 14:37
지난 주 한 증권사에서 ‘디지털·디카본 Tax Revolution’ 책자를 냈다. 책자를 통해 이 증권사는 바이든 정부 이후 급진전된 글로벌 디지털세 논의와 유럽 그린딜에 따른 EU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 논의의 배경, 이슈, 전망, 시사점을 정리했다고 밝혔다. 또 ‘1. 트렌드 & 트리거, 2. 이슈 & 전망, 3. 인사이트 & 포커스’의 3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제목이 ‘디지털·디카본 Tax Revolution’. 웬만한 투자자는 이해하기 쉽지 않다. ‘Tax Revolution(세제 혁명)’이라는 원어도 그렇지만 책자를 펼치면 ‘그린딜’ ‘메커니즘’ ‘트렌드’ ‘트리거’ ‘인사이트’ ‘포커스’ 등 외국어 투성이다. 증권사가 낸 보도2021.07.20 17:26
경기도는 지난해 1월 ‘국적 없는 공공언어 114개 퇴출’ 하겠다고 선언했다. 선정한 공공언어는 일본어 투, 어려운 한자어, 외국어·외래어, 차별적 용어 등 4개 분야다. 선정 기준은 경기도 누리집(홈페이지)에 도 공무원들이 작성해 올린 각종 보도자료, 공문서, 정책용어 등을 모두 분석했다. 경기도는 각종 공문서와 자치법규 등에 순화된 대체어를 사용하고, 공공기관과 시군에도 이를 권고한다고 했다. 경기도는 1년 6개월 전 위와 같이 발표했다. 지금 어떻게 됐을까. 경기도청 누리집를 살펴봤다. 변한 게 없어 보인다. 퇴출하겠다고 한 ‘국적없는 공공언어’는 여전히 도청 누리집 맨 앞에 자리 잡고 있다. “공무원들이 솔선해서2021.07.16 20:22
“세계 최대 완성차 제조업체이자 한국 배터리 3사의 최대 고객인 폭스바겐그룹이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셀 개발을 위해 중국 업체와 손을 잡는다.”전기차 배터리는 차세대 기술로 우리에게 생소한 외국어도 많습니다.기가팩토리, 배터리 셀,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파우치형 배터리, e모빌리티, MOU...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이 단어들은 기사 하나에 나온 외국어입니다.기가(GIGA, 10억을 나타내는 측정단위) 팩토리(FACTORY, 공장)의 합성어기가팩토리 = 대규모 전지공장2014년 미국 네바다 주에 건설 중이던 '세계 최대 리튬이온 전지 공장'에서 처음 썼습니다.배터리 셀, 베터리 팩배터리 셀(Cell), 배터리 모듈(Module), 배터리 팩(Pa2021.07.16 14:58
“세계 최대 완성차 제조업체이자 한국 배터리 3사의 최대 고객인 폭스바겐그룹이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셀 개발을 위해 중국 업체와 손을 잡는다.”어제(16일) 주요 신문에 나온 기사다. 전기차 배터리는 차세대 기술로 우리에게 생소한 외국어도 많다. 기가팩토리, 배터리 셀,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파우치형 배터리, e모빌리티... 기사 하나에 나오는 외국어다. 우리말 사전에 없는 것도 많다.기가팩토리는 오래됐다. 기가와 팩토리의 합성어가. 기가(giga)는 10억을 나타내는 측정단위이고, 팩토리는 공장이다. 테슬라모터스가 2014년 미국 네바다 주에 건설 중이던 ‘세계최대 리튬이온 전지공장’에서 처음 썼다. 우리말로 ‘대규모 전지2021.07.13 18:05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화제를 몰고 다니는 기업인이다. 야구단 ‘SSG 랜더스’와 온라인 쇼핑몰 ‘이베이’ 인수 등 영토 확장에 거침없다. 정 부회장이 또 유명한 건 누리소통망(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인플루언서(Influencer·영향력 있는 개인)로서의 활동이다. 영향력이 막강하다. ‘용진이형’으로 불리는 일거수일투족이 언론의 주목을 끈다. 정용진 부회장은 누리소통망을 잘 활용하는 CEO다. 소비자와 소통을 중시한다. 지인 백종원이 ‘못난이 감자’ 판매를 부탁하자 이마트를 통해 30톤을 3일 만에 완판시킨 일화도 유명하다. 지난 4월 그의 ‘청소’하는 기사가 보도됐다. 인스타그램에 뜬 글이다. “지구의 날(4월2021.07.09 17:40
'홈 뷰티 디바이스'코로나19로 외출이 어려워지고 미용 매장(뷰티 숍) 방문이 어려워진 요즘 주목받는 용어입니다.디바이스 = 컴퓨터, 핸드폰 등 전자 장치 혹은 기기 디바이스(기기) 앞에 뷰티(미용)를 붙인 것입니다.LG전자의 피부 관리기기 '프라엘'이 뷰티 디바이스를 알리기 시작해, 삼성전자, 아모레퍼시픽 등이 이 시장에 가세했습니다. 피부부터 머리카락 몸매 관리까지 다양한 제품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제품들의 설명엔 외국어들이 가득합니다. LG 프라엘 더마 LED 마스크, 실큰 실루엣, 스킨 아이론 ··· 잘 팔리는 기기 이름은 우리 말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안면 리프팅, 엘라스틴, 딥 클렌징, 카본 파우더, 스킨 부스터 등2021.07.08 13:41
‘홈 뷰티 디바이스’. 코로나19로 외출이 어려워지고 미용 매장(뷰티 숍) 방문이 어려워진 요즘 주목 받고 있는 용어다. 디바이스는 컴퓨터, 핸드폰 등 전자 장치 혹은 기기를 말한다. 이 디바이스(기기) 앞에 뷰티(미용)를 붙였다. LG전자가 내놓은 피부 관리기기 ‘프라엘’이 이 용어를 알리고, 시장을 넓힌 일등공신이다. 프라엘 성공에 삼성전자, 아모레퍼시픽 등이 이 시장에 가세했다. 피부부터 머리카락, 몸매 관리까지 다양한 제품이 쏟아졌다. 여기에 따라 붙은 것이 제품 설명 외국어들이다. 제목부터 온통 외국어 도배다. LG 프라엘 더마 LED 마스크, 실큰 실루엣, 스킨 아이론, 필립스 비자퓨어 어드밴스드, 메이크온 써모2021.07.06 18:17
슬립 드레스는 캐주얼한 데이 웨어는 물론관능적인 나이트 웨어로도 활용하기 좋다. 미니멀한 슬립 드레스로 1990년대 바이브를은밀하게 즐기는 것도 좋지만달콤한 파스텔컬러와 볼드하거나빈티지한 패턴의 슬립 드레스도 주목할 것. ------------------------------------- 패션잡지에 나온 글이다. 병원, 은행 대기 때 보라고 비치돼 있다. 외국어 범벅이다.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고 미국 등이 세계 패션을 이끌고, 이들이 사용하는 용어가 ‘세계 표준’이 되었다고 해도 심하다. 이해 어려운 10대 신조어를 보는 듯 외계어 수준이다. 하나하나 해석해봤다. 슬립 드레스란 속옷처럼 보이는 원피스를 가리킨다. 정장이 아1
크라켄, 리플 스테이블코인 RLUSD 상장...호재에 XRP 가격 상승하나2
전문가 “XRP가 5달러에 도달하면 도지코인도 폭등할 수 있어”3
트럼프 25% 상호관세 발표 "한국· 일본 최악" … 뉴욕증시 비트코인 "스태그 충격"4
미란보고서5
현대제철 노조, 8일 무기한 총파업 선언6
트럼프, 한국 25%·중국 34%·EU 20% '관세폭탄' 부과...글로벌 무역질서 대변혁7
뉴욕증시 비트코인 "패닉 붕괴" 트럼프 관세폭탄 엄청난 충격 …테슬라 엔비디아 아이온큐 리게티 애플8
월가 낙관론자 톰 리 “트럼프, 관세 발표 이후 주가 상승에 전력할 것”9
美 주요 기술주, 트럼프 관세 발표 후 시간 외 급락...애플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