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20:2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일부 전자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일시적으로 유예하면서 아시아 주요 기술주가 반등했다. 14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애플의 최대 아이폰 조립업체인 대만 폭스콘의 주가는 장중 한때 7.8% 상승한 뒤 3% 상승으로 마감했다. 노트북 위탁생산업체인 콴타는 5.8% 상승 마감했고, 인벤텍은 4.1% 올랐다.중국의 애플 부품 공급업체인 고어텍과 렌스테크도 장중 7% 이상 상승했다가 일부 상승 폭을 반납했다. 한국의 삼성전자 주가는 1.5% 상승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소셜미디어를 통해 관세 유예 대상 전자제품이 “다른 관세 '버킷'으로 이동했으며 반도체와 함께 국가2025.04.14 20:26
테슬라 이사이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동생인 킴벌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14일(현지시각) 벤징가에 따르면 킴벌은 전날 X에 올린 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소비자에게도 타격을 주는 관세 정책을 자화자찬하고 있다며 “구조적이고 영구적인 세금을 자국민에게 부과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킴벌은 “중국 증시를 떨어뜨리기 위해 우리 증시까지 떨어뜨리는 걸 자축한다고? 아마 그래서 트럼프가 'R'이라는 단어를 다시 꺼내든 모양”이라고 비꼬며 이같이 주장했다. 여기서 ‘R’은 경기침체(Recession)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90일간의 관2025.04.14 18:03
트럼프 미 행정부 관세 정책의 핵심은 국가별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다. 국가별 상호관세는 협상용 성격이 짙다. 10%의 기본관세를 하한으로 국가별 차등 관세를 통해 무역수지 균형을 이루려는 게 정책 목표이기 때문이다. 고율의 관세율 발표 직후 중국의 반발과 미 국채 금리 상승 등 이상 징후가 나타나자 국가별 관세만 90일간 유예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국제 금융시장에서 미 국채 매도세가 나타나면서 금리는 가파른 상승세다. 실제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7일 3.86%에서 4.5% 수준으로 크게 올랐다. 상승폭만 놓고 보면 2001년 이후 가장 가파르다. 미 국채 30년물도 4.98%로 1982년 이후 가장 빠른 상승세다. 증시 변동성이2025.04.14 14:57
미국의 관세 부과 여파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헤지펀드와 자산운용사들이 엔화 강세 포지션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는 14일(현지시각)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일본은행의 정책 전망을 재검토하는 가운데, 헤지펀드와 자산운용사들이 엔화 강세 포지션을 확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데이터에 따르면, 레버리지 펀드의 엔화 매수 포지션은 8일까지 1주일간 2021년 1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자산운용사의 엔화 매수 포지션은 데이터 확인이 가능한 200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엔화는 지난주 달러 대비 2.3% 상승해 11일에는 지난해 9월 이후 최2025.04.14 13:3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반도체 칩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13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 중 구체적인 관세율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히며, 특정 기업에 대해서는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미중 무역 갈등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일부 품목에 대한 상호 관세 면제 조치가 유지되었지만, 앞으로는 이러한 예외 조치가 축소되거나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 원에서 기자들에게 "우리는 반2025.04.14 12:4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일 전화회담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게 일본 내 미국 산업 현황에 대한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시바 총리는 14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일본에서 미국 자동차가 한 대도 달리지 않는다”는 등의 불만을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전화 회담에서 일본에서 미국의 자동차가 한 대도 달리고 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라며 “물론 한 대도 달리고 있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아마 그의 눈에는 그렇게 보인 것 같다”라고 말했다. 또 이시바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런 종류의 불만을 토로했2025.04.14 10:0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강력한 이민 단속 정책을 추진하면서 해외 노동자 송금에 크게 의존하는 필리핀 경제와 통화 가치가 위협받고 있다. 해외 필리핀 노동자들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수십억 달러의 자금이 필리핀 경제의 핵심 생명줄 역할을 하고 있는 가운데, 이민 정책 강화는 페소화의 안정성에 잠재적 위험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고 14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필리핀 중앙은행(BSP)에 따르면, 2024년 개인 송금액은 전년 대비 3% 증가한 383억 4천만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필리핀 국내총생산(GDP)의 8.3%에 해당한다. 이 중 상당 부분이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어 트럼프의 이민 정책2025.04.14 10:0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자제품 및 부품에 상호관세 대상으로 제외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상승세다.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29분 삼성전자는 전거래일 대비 1.81% 오른 5만6200원에 거래되고 있다.SK하이닉스는 전날 대비 1.49% 상승한 18만3500원에 거래 중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대통령 각서에서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반도체 등 전자제품 품목을 구체적으로 명시했고, 관세 징수를 담당하는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이를 공지했다.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전자제품 등이 상호관세 대상이 아닐 뿐 조사를 통해 품목 관세를 부과한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2025.04.14 10:0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선업 재건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국내 조선주들이 동반 강세를 지속하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48분 현재 HD현대마린엔진은 전거래일 대비 6.41% 오른 3만 3200원에 거래 중이다. 장중 3만3950원까지 오르며 1년 중 최고가를 찍었다. 같은 시각 현대힘스 5.27%, 세진중공업 4.82%, 삼영엠텍 4.32%, 한화엔진 4.18%, 한화오션 3.74%, 한라IMS 3.65%, 케이에스피 2.49%, HD현대중공업 2.8% 등이 일제히 상승 중이다.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 시간)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우리는 조선업을 재건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그 동안에는 우리에게 배를 아주 잘 만드는 국가들이 있다.2025.04.14 04:51
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면제 아니다…반도체 등 조사 예정"트럼프 긴급성명 "전자제품 관세면제 가짜뉴스" 품목 관세폭탄 발표 " 뉴욕증시 코스피 코스닥 대란"전자제품 관세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제품 관세면제" 보도는 잘못된 가짜뉴스라고 해명했다. 국가별 상호관세에는 빠지지만 품목별 관세에는 여전히 포함된다는 것이다. 자동차 철강과 마찬가지 구조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 정책에 후퇴가 없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지난 금요일(4월 11일)에 발표한 것은 관2025.04.14 02:01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공세가 중국 생명공학 산업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국내 시장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들에는 예상치 못한 성장 기회를, 미국 시장에 의존해온 기업들에는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고 12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최근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자 퍼시픽 솽린 바이오 파마시, 베이징 톈탄 바이오 프로덕츠, 차이나 리소시스 보야 바이오 파마제먼트 그룹 등 혈장 제품 제조업체들의 주가가 이틀 만에 10.6%에서 16.6%까지 급등했다. 이는 미국산 혈장 제품에 대한 관세가 중국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기 때2025.04.14 01:5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메이드 인 아메리카'를 외치며 제조업 부흥을 추진하고 있지만, 핵심 산업 분야에서조차 해외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의 상징과도 같은 달러화 인쇄에 독일 기술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눈길을 끈다. 지난 12일(현지시각)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AZ)에 따르면 독일 바이에른주 뷔르츠부르크에 위치한 인쇄기 제조업체 쾨니히 & 바우어(Koenig & Bauer)는 은행권 인쇄기 분야에서 독보적인 세계 1위 기업이다. 1817년 설립된 이 회사는 해당 분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세계 시장 점유율이 80%를 넘어선다. 쾨니히 & 바우어 측은 "전 세계2025.04.14 01:30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를 부과하고 주요 무역 상대국에는 더 높은 관세를 적용하는 '해방의 날' 정책을 발표했지만, 마이크로소프트(MS)는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중심 사업모델 덕분에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12일(현지시각) 시킹알파에 게재된 '젠 애널리스트'의 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기술 하드웨어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초점은 직접적인 관세 효과로부터 보호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월스트리트저널 베스트셀러 작가 릭 오포드는 "마이크로소프트는 AI 발전, 예측 가능한 수입 및 견고한 재정 상태로 인해 '강력1
아이온큐, 미국 최초 양자 컴퓨팅 허브 건설 추진2
금값 상승세 주춤하며 리플 XRP '기지개'…기하급수적 급등 기대감 고조3
HD현대중공업, 페루와 1500t급 잠수함 공동개발 합의4
리플 XRP, 기관 채택 가속화 속 가격 안정화 기대감 증폭5
리플, 스테이블코인 RLUSD 2,300만 개 발행6
카르다노, 리플 XRP 통합으로 거래 기능 대폭 강화7
SEC 가상화폐 규제 전면 재검토 "강제집행 폐지" … 앳킨스8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스페인 배터리 공장, 지역 환경단체 반발에 부딪혀9
조선3사 1분기 실적 '우수'…생산 안정화 넘고 저탄소 미래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