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06:47
삼성전자가 중동과 아프리카 시장 공략을 목표로 이집트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고 이집트 현지 언론 이집션스트리츠가 지난달 30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하산 엘 카티브 투자 및 대외 무역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김원경 삼성전자 이집트 생산법인(SEEG-P) 법인장과 만나 현재 진행 중인 회사의 프로젝트와 향후 사업 확장 계획을 논의했다. 투자부와 삼성의 고위 관계자들이 참석한 이번 회의는 이집트 정부와 글로벌 전자제품 대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보여준다. 카티브 장관은 "이집트에서 삼성의 꾸준한 발전을 높이 평가하며, 현지 전자산업 발전에 회사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카티브 장관은 이2025.03.31 06:42
중국 정부가 경기 둔화에 대응해 대형 은행들의 대규모 증자를 추진하고 있으나, 부동산 부문 위기는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의 4대 은행이 총 5200억 위안(715억 달러, 약 105조 원)의 자본 조달을 위한 주식 매각에 나선다고 지난 3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같은 대규모 증자는 중국 정부가 은행 부문 자본 투입을 위해 발행하기로 약속한 5000억 위안(약 101조 원) 규모의 특별 채권과 연계된 조치로 알려졌다.FT는 뎁와이어(Debtwire)의 데이터를 인용해 2021년 이후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가 채무 불이행한 약 1470억 달러(약 216조 원) 중 국제 채권자들이 회수한 금액은 0.6%인 9억1700만 달러2025.03.31 01:55
네덜란드 연기금이 향후 5년간 유럽 방위산업 등 위험자산에 약 1000억 유로(약 159조 원)을 투자할 계획인 가운데, 유럽 자산운용사들도 방위산업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파이낸셜타임스(FT)가 지난 30일(현지시각)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네덜란드의 연금 개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안보 불안이 유럽 방위산업 투자를 가속화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금 개혁으로 위험자산 투자 확대네덜란드 최대 자산운용사 APG 애셋 매너지먼트(Asset Management)의 로날드 뷔이스터 최고경영자(CEO)는 FT와의 인터뷰에서 "더 매력적인 가치와 실제 영향을 기대하기 때문에 예상되는 1000억 유로의2025.03.31 01:40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정부 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일론 머스크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 정책을 달 탐사에서 화성 탐사로 급격히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지난 29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머스크, 트럼프 행정부, NASA, 의회 관계자 및 스페이스X와 가까운 약 30명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러한 정책 변화 움직임을 상세히 보도했다.머스크는 트럼프 대선 캠페인에 2억5000만 달러(약 3600억 원) 이상을 지원했으며, 현재 세계 최고 부자이자 대통령의 최고 고문으로서 연방항공국(FAA)을 포함한 여러 정부기관의 예산과 인사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머스크는 자신이 설립한 스페이2025.03.31 01:3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속에 트럼프 행정부가 유럽 동맹국들에 대한 전례 없는 적대적 태도를 노골화하고 있다.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8일(현지시각) JD 밴스 부통령이 메시징 앱 시그널에서 "유럽을 다시 구제하는 것이 싫다"고 언급한 메시지가 유출됐다고 보도했다. 이 메시징 앱에서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도 "유럽의 무임승차에 대한 당신(밴스 부통령)의 혐오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한심하다"고 화답했다.제프리 골드버그 애틀랜틱 편집장이 우연히 접근한 이 대화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특징으로 자리잡고 있는 반유럽주의(Anti-Europeanism)의 명백한 증거를 제공했다. 이는 유럽의 반미주의(Anti-Americanism)에 대응2025.03.31 01:28
일본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설립된 반도체 제조 기업 라피더스가 첨단 반도체 국산화라는 야심찬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라피더스는 4월 1일부터 홋카이도 지토세시 공장에서 2나노미터(nm)급 첨단 반도체 시제 라인을 가동하며 2027년 양산 개시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을 내딛는다고 지지통신(時事通信)이 지난 3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생사 걸린' 국산화… 5조 엔 투자 없인 '미래 없다'라피더스의 고이케 아쓰요시 사장은 지지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첨단 반도체 국산화를 "생사를 건 큰 사업"이라고 규정하며, 성공적인 양산을 위해서는 "어설픈 금액으로는 반드시 실패한다"고 강조했다. 라피더스가 2027년 양산 개시를 위해 예2025.03.31 01:15
자연계에서 가장 강력한 소재로 손꼽히는 거미줄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소재가 등장해 화제다. 일본의 화학기업 고와(興和)는 최근 '미노무시'의 실을 세계 최초로 실용화하고, 이를 활용한 혁신적인 섬유 브랜드 '미노론(MINOLON)'을 론칭해 소재 산업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고 포브스저팬이 지난달 29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미노무시'는 '털벌레'라고도 불리는 곤충이다. 나방의 유충으로, 몸을 보호하기 위해 나뭇가지나 잎 등으로 집을 짓고 그 안에서 생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집의 형태가 마치 작은 주머니나 고치처럼 생겼으며,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이 마치 작은 벌레가 매달려 있는 것처럼 보여 '털벌레' 또는 '미노무시'2025.03.31 01:03
미국 경제가 핵심 축을 담당하는 부유층의 소비 감소와 임박한 관세 정책 발표로 인해 침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월스트리트 보너스가 사상 최대치인 475억 달러(약 70조 원)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 하락에 베팅하는 헤지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배런스는 최근 보도를 통해 미국 경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부유층의 소비 패턴 변화로 인해 침체 위험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관세 정책과 시장의 불안감 고조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을 "미국 해방기념일"로 지정하고 국가 차원의 관세를 공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최근 관세의 경제적2025.03.31 01:00
미국 관세율이 급증하고 정부 인력 감축이 진행되면서 올해 1분기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지난 25일(현지시각) etf.com 보도에 따르면, JP모건 에셋 매니지먼트의 데이비드 켈리 수석 글로벌 시장 전략가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익스체인지 컨퍼런스에서 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시장 전망을 위협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켈리 전략가는 "우리는 지금 이례적인 정책 불확실성의 시기에 들어섰다"며 "지난 11월 선거, 특히 공화당이 하원과 상원, 백악관을 휩쓸었기 때문에 공화당은 통제권을 가지고 있으며 정책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발언이 정치적인 것이 아니라 경제적 분석임을2025.03.30 07:1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을 '무역보복의 날'(해방의 날· Liberation Day)로 지정하고 주요 무역국에 대규모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어서 글로벌 무역 갈등이 심화될 전망이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29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을 자신의 관세 정책을 전면적으로 확대할 시점으로 선언했다"며 "이는 수십 년에 걸친 세계 무역 규범을 뒤엎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수십 년 동안 우리는 친구든 적이든 전 세계 모든 나라에 의해 바가지를 씌우고 학대당해 왔다"며 "이제 드디어 미국이 그 돈과 존경을 되찾을 때"라고 강조했다.미국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 자료에2025.03.30 01:30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국의 안보공약 변화로 유럽이 대규모 재정 지출과 군사 투자를 확대하면서 유럽 증시가 미국 시장 대비 20년 만에 최대 초과수익률을 기록했다. 유럽의 정치·경제적 대전환이 초기 단계인 가운데 저평가된 유럽 시장에 투자 기회가 열리고 있다.지난 27일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STOXX 유럽 600 지수는 올해 들어 8% 상승한 반면, S&P 500 지수는 3% 하락했다.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정책 불확실성 속에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구하며 오랫동안 저평가되었던 유럽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현상을 반영한다.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며 무역 분쟁 우려를 키2025.03.30 01:20
타이완을 둘러싼 분쟁 발발 시 170,000명의 미국인이 살고 있는 괌이 중국의 첫 번째 미사일 공격 대상이 될 것이라고 미 국방부가 경고했다. 미국은 이에 대응해 2028년까지 73억 달러(약 10조7000억 원) 규모의 방어 체계를 구축하는 등 대비책을 서두르고 있다고 워싱턴타임스가 최근 보도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지난 27일(현지시각) 괌을 방문하면서 "괌에 대한 대대적인 미사일 방어망 증강이 트럼프 대통령의 '골든 돔' 국가 미사일 방어 체계 계획의 모델"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괌 방어 시스템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고 이를 미국 본토의 방어에 적용할 것"이라고 현지 관리들과의 회의 후 강조했다. 괌은 하와이에서 서2025.03.30 01:13
독일 철도 시스템이 만성적인 지연과 노후화된 인프라로 신뢰성을 잃고 있다.독일 국영방송 DW의 지난 28일(현지시각) 보도에 따르면, 독일 국영 철도회사 도이치반(Deutsche Bahn)은 지난해 장거리 열차 정시 도착률이 62.5%에 그쳐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통계에는 취소된 열차나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한 열차가 포함되지 않아 실제 상황은 더 심각할 수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도이치반의 리처드 루츠(Richard Lutz) 최고경영자(CEO)는 베를린에서 열린 2024년 연례 보고서 발표에서 "도이치반은 지난 30년 동안 가장 큰 위기를 겪고 있다"며 "핵심 영역에서 우리가 계획한 것과 고객이 기대하는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고 밝혔다.1
美 정부, 비트코인·이더리움·XRP·솔라나·카르다노 보유량 대규모 감사2
리플 XRP, 이더리움과 손잡고 DeFi 시장 '게임 체인저' 노린다... 솔라나는 '주춤'3
트럼프 25% 상호관세 발표 "한국· 일본 최악" … 뉴욕증시 비트코인 "스태그 충격"4
현대차그룹, 서울모빌리티쇼서 신차 총출동…넥쏘 신차 '최초 공개'5
트럼프 상호관세 20% 즉각 발효6
'닌텐도 스위치 2' 6월 5일 발매…일본은 49만원, 해외는 68만원7
한텍, 주가 급등 속 시총 3000억 돌파...美 LNG프로젝트 이어 SMR프로젝트 기대8
아이온큐, 최신 양자 컴퓨터 클라우드 출시로 주가 5.07% 급등9
트럼프 25% 상호관세 "해방의 날 공식발표" … 뉴욕증시 비트코인 "미란보고서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