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27 18:17
현금과 예금을 선호하는 게 일본 가계의 자산 운용 방식이다. 미국이나 유로권 국가에 비해 현금과 예금 보유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금융자산에서 현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52.5%다. 미국의 12.5%나 유로권의 35.5%와 비교하면 압도적인 수준이다. 일본은행 자금순환표를 보면 가계의 금융자산 총액은 9월 말 기준 2121조 엔(약 1경9300조원)이다.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 중 주식·채권·해외유가증권 등 투자자산은 427조 엔이다. 1년 전보다 27%(82조 엔)나 증가한 수치다. 이 기간 늘어난 금융자산 100조 엔의 82%를 차지한다. 일본에서 과거 10년간 증가한 투자자산은 160조 엔이다. 이 중 절반 이상이 지난 1년 새 늘어났다는 계산이다. 투2023.12.27 18:14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고질병처럼 반복 중이다. 5대 시중은행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11월 말 기준 1051억원이다. 1년 전보다 2배 늘어난 규모다. 제2 금융권 상황은 더 심각하다.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연체율은 3분기 말 기준 2.42%다. 시중에서는 시공능력 상위 건설사 위기설도 파다하다. PF는 IMF 외환위기를 겪으며 도입한 선진금융기법이다. 이른바 건설업무에서 개발업체인 시행사를 분리한 게 핵심이다. 개발 초기 토지확보와 인허가를 시행사에 맡기고 건설사는 건축과 연대보증 자금 보충 등 PF 신용보강만 하는 구조다. PF에 날개를 단 시기는 2006년이다. 여신 한도를 완화해주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PF 보증2023.12.26 18:11
중국이 수출기업에 희귀자원 종류와 수출목록을 보고하도록 하는 관리제도를 마련한 게 11월부터다. 반도체 재료인 칼륨과 전기차에 사용하는 흑연 등이 수출관리 품목으로 지정된 상태다. 지난 21일에는 희토류 제련기술과 고성능 자석 제조기술 수출도 금지했다. 상무부의 수출금지목록을 보면 품목 수는 164개에서 134개로 줄어든 반면 첨단 기술 유출은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희토류를 사용하는 자석류 제조와 제련·가공기술 면에서 우위를 지키려는 의도다. 중국은 희토류 세계 시장의 90%를 장악 중이다. 지난해 기준 중국 희토류 최대 교역 국가는 미국이다. 미국은 희토류를 중국에 수출해서 제련한 후 다시 수입한다. 미국에는 제련2023.12.26 18:08
한국 여성 1인당 자녀 수는 현재 0.7명 수준이다. 미국의 1.7, 프랑스의 1.8, 캐나다의 1.4명의 절반 이하다. 선진국 평균은 1.5 정도다. 인구 대국인 중국도 출산율 하락을 걱정하는 단계다. 산업화 시기 급격한 인구 증가에 대한 반작용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국의 출산율 하락 속도는 매우 급격한 편이다. 가장 먼저 인구가 소멸할 나라로 한국을 꼽는 이유다. 최근 인천시의 1억원 지원이 화제를 모으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기존의 각종 지원금에 자체 예산 2800만원을 추가하겠다는 내용이다. 현재 국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예산과 보조금은 인당 7200만원 정도다. 적지 않은 지원금에도 출산율 하락을 막지 못하고 있다. 경제적인 지원2023.12.25 16:39
내년 글로벌 증시 최대변수는 금리 인하 시기와 폭이다.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가 엇갈리는 이유다. 10월 5%였던 미국의 장기금리는 최근 3.9%대까지 하락한 상태다. G20 중 60% 국가의 장기금리도 지난해 수준으로 낮아졌다. 선진국보다 앞서 인하한 브라질의 장기금리는 1.9%다. 일본이나 튀르키예를 제외한 대부분 나라가 올해 금리 상승분을 반납했다. 관심은 내년 금리 인하 폭이다. 미국 금리 선물시장의 내년 금리 인하 폭은 1.3%p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언급한 예상보다 0.5%p 차이다. 내년 미국 주식시장 전망은 10% 상승에서 9% 하락으로 천차만별이다. 경기와 시장을 보는 견해 차이를 반영하는 수치다. 닛케이가 금융기관을 대상2023.12.25 16:33
한국의 부채 증가 속도가 심상치 않다. 국제결제은행 통계에 따르면 가계·기업·정부 부채를 합친 한국의 총부채는 2분기 말 기준 5956조9572억원이다. GDP의 273.1% 규모다. 1년 전과 비교하면 4.9% 증가한 수치다. 총부채 규모보다 더 위험한 게 부채 증가 속도다. 1년 새 총부채 비율이 증가한 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유일하다. 특히 GDP 대비 기업과 정부 부채 비율이 크게 늘었다. 2218조3581억원인 가계부채도 위험 수준이다. 가계의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DSR)은 14.2%로 매년 사상 최고를 갈아치우는 중이다. 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소득의 14.2%를 지출하는 셈이다. 글로벌 평균은 9.9% 수준이다. 미국(7.7%)·일본(7.4%)·프2023.12.20 17:20
이집트 수에즈 운하는 글로벌 수출입 화물의 15% 정도를 처리하는 해상 관문이다.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최단 항로인 만큼 상선이 몰리기 때문이다.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려면 통행료와 세금을 내야 한다. 아덴만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소말리아 해적이나 예멘의 후티 반군에게 걸리면 선박을 통째로 빼앗기기도 한다. 수에즈 운하 대신 남아프리카 희망봉을 도는 경로를 선택하는 이유다. 수에즈 운하 대신 희망봉을 돌면 13.5노트 속도로 가는 상선의 경우 11일이 더 걸린다. 물류 비용도 그만큼 올라간다. 최근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을 틈타 후티 반군이 홍해에서 민간 선박을 공격하자 바스쿠 다가마 시대의 항로를 선택하는 선사가 늘고2023.12.20 17:15
글로벌 금융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미 연준의 금리정책 전환 시기다. 미국 통화정책 동향을 반영하는 지표인 2년물 국채수익률은 FOMC 이전 4.67%에서 4.34%로 하락한 상태다. 뉴욕증시 다우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행진 중이고, 외환시장의 달러 시세도 약세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두 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독일을 중심으로 경기 불안에 대한 우려가 강해진 탓이다. 일본도 마찬가지다. 일본은행은 19일 통화정책 회의에서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기로 했다. 임금인상이 더뎌 디플레이션 종료를 선언하기에 부족하다는 판단에서다. 엔저로 인한 기업수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임금을 올리지 않고 있어서다. 따라서 일본의 통화정책 전환은 내2023.12.19 18:45
해운업은 경기에 민감하다. 해운 운임지수는 경기선행지수 역할을 한다. 글로벌 해운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를 보면 지난해 1월 5000에서 1000선으로 급락했다. 국내 최대 선사인 HMM에 대한 매각 작업이 급물살을 타는 이유다.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18일 HMM 매각 우선협상 대상자로 하림그룹과 JKL파트너스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매각 대금은 6조4000억원 규모다. 팬오션을 인수한 바 있는 하림이 HMM까지 인수하면 초대형 국적선사로 부상하게 된다. 하지만 해운 경쟁 환경은 전과 다르다. 전자상거래와 모바일 커머스 시장이 해운산업 구조를 송두리째 뒤바꾸고 있기 때문이다. 물류 서비스 기업이 해운업을 대체하는2023.12.19 18:43
우리나라 인구는 지난달 말 기준 5134만 명이다. 이 중 60세 이상은 전체 인구의 27.1%인 1393만 명이다. 이들 중에 일하는 사람은 11월 말 기준 22.0%다. 지난해 처음 20%를 넘어선 이후 계속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는 중이다. 특히 60대 취업자가 624만7000명이다. 60대 취업자 수가 20대 취업자를 넘어선 게 2005년이다. 이어 2021년에는 30대도 제쳤다. 경제의 허리라고 불리는 40대 취업자 626만2000명과 불과 1만5000명 차이다. 올해 말에는 40대 취업자보다 5000명 많아질 전망이다. 일자리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63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게다가 창업하는 60대도 매년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지난해 60대 창업기업은 111만2002023.12.18 18:02
반도체를 만드는 8대 공정에 사용하는 장비는 1000개 이상이다. 이 중에서도 실리콘 웨이퍼에 반도체 설계도인 초미세 회로를 새겨 넣는 극자외선(EUV) 노광장비가 핵심이다. 칩 단위당 트랜지스터 수로 결정되는 성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EUV로 미세하게 조각하고 남는 실리콘 덩어리가 바로 트랜지스터다. 이 장비를 가장 잘 만드는 회사가 바로 네덜란드의 ASML이다. 7나노 이하 첨단 반도체 공정에는 ASML의 EUV 장비만 쓰인다. 대당 가격이 2000억원에 이르는 이유다. 연간 출하량도 40대 안팎이다. 이 장비를 가장 많이 확보한 곳이 세계 1위 반도체 파운드리인 대만 TSMC이고, 한국의 삼성과 SK하이닉스가 그 뒤를 잇고 있다. ASML은 이2023.12.18 17:59
미 연준(Fed)이 통화정책 피벗을 선언했다. 연준은 지난해 3월부터 1년4개월간 기준금리를 0.25%에서 5.5%로 올렸다. 인상 폭으로 따지면 1980년 이후 최대 폭이다. 금리 인상 기간으로 보면 2001년 이후 최단기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6월 9.1%로 40년 만의 최고치를 찍은 후 11월 기준 3.1%로 하락한 상태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통화 방출과 인플레이션 국면이 서서히 진정되고 있다는 신호다.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내년 정책금리 목표를 4.6%로 제시했다. 0.25%씩 세 차례 인하를 공식화한 것이다. 지난 9월 예고한 두 차례보다 더 늘어난 배경에 고금리로 인한 미국 경기 침체가 있다. 미국 경제는 3분기 5% 깜짝 성장을 고점으2023.12.17 15:53
해외 자금이 일본 증시로 몰리고 있다. 일본 기업 주식에 투자해 환차익과 시세차익을 올리려는 의도에서다. 엔화라는 국가 신용을 보고 들어가는 투자자금인 셈이다. 게다가 일본은 세계 최고 채권국이다. 투자자들의 최근 관심사도 일본이 내년에도 채권국 1위 지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에 쏠려 있다. 일본의 대외 순자산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3조1000억 달러다. 2위인 독일의 2조9000억 달러보다 2000억 달러 많다. 이론상 대외 순자산 증감을 결정하는 요인은 경상수지다. IMF에서 경상수지를 기초로 추산한 일본의 올해 대외 순자산은 3조3000억 달러다. 독일의 3조2000억 달러보다 많다. 하지만 내년 추정치는 다르다. 독일이 3조51
크라켄, 리플 스테이블코인 RLUSD 상장...호재에 XRP 가격 상승하나2
리플 소송, 오늘 SEC 비공개 회의서 운명 결정되나3
전문가 “XRP가 5달러에 도달하면 도지코인도 폭등할 수 있어”4
트럼프 때문에... 비트코인·리플 XRP·솔라나 등 급락5
트럼프 25% 상호관세 발표 "한국· 일본 최악" … 뉴욕증시 비트코인 "스태그 충격"6
미란보고서7
윤석렬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두고... 이재명 테마주 '껑충'8
리플 XRP, 2달러선까지 하락 조정...매수 기회 vs 1.23달러까지 폭락9
암호화폐 시장 '패닉셀'…비트코인·이더리움·XRP 등 주요 코인 일제히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