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13 16:15
일본이 적의 레이더와 통신을 무력화하는 '전자 공격기'를 개발한다. 요미우리신문은 13일 일본 자위대 수송기와 초계기에 강력한 전파 방해 장치를 탑재해 중국과 러시아의 전자전을 무력화하는 공격기를 개발한다고 보도했다. 전자전 능력을 향상시키고 중국과 러시아에 대처하는 목적이라고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일본 항공자위대와 해상자위대는 현재 적의 항공기·함선이 발신하는 전파를 분석하는 전자정보수집기와 훈련시 자위대 항공기에 대한 전파방해를 차단하는 데 쓰이는 전자훈련지원기는 운용하고 있지만 전자전기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이 같은 전자전기 개발·도입은 전투기나 미사일이 적의 방공망을 뚫고2019.01.13 12:37
우리나라도 오는 3월이면 스텔스 전투기 보유국이 된다. 스텔스 전투기는 레이더에 잡히지 않도록 만들어진 F-35A로 공군이 지난해 말 미국 현지에서 인수한 스텔스 전투기 F-35A 6대 가운데 2대가 오는 3월 한국에 도착하기 때문이다. 처음 도입되는 F-35A 2대는 전력화 과정을 거쳐 4~5월 실전에 배치될 예정이다. 13일 군 관계자 등에 따르면 우리 공군이 지난해 말까지 미국 현지에서 인수한 스텔스 전투기 F-35A 2대가 오는 3월 말 한국에 도착한다. 정부가 주문한 F-35A 40대 중 1호기가 지난해 3월 미국 록히드마틴 공장에서 출고됐고 이후 5대가 추가로 출고돼 총 6대가 됐다. 출고된 6대는 한미 양국 정부의 수락검사 절차를 거쳐 지난2019.01.12 17:11
인도네시아에 209급 잠수함 3척을 수출한 대우조선해양이 인도네시아 국방부와 3척을 추가 수출하는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 보도가 현실화한다면 대우조선해양은 총 6척의 잠수함을 우리 기술로 건조해 수출하는 한국 대표 조선소가 된다. 대우조선이 수출한 잠수함은 독일 HDW가 개발한 209급을 개량한 배수량 1400t급의 디젤 전기 잠수함이다.군사 전문매체 제인스360은 11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아 국방부가 209급 잠수함 3척을 한국에서 추가 도입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군수지원과 훈련비용 등을 포함한 총 계약 규모는 약 12억 달러라고 제인스는 전했다. 인도네시아 국방부 관계자는 "인도네시아2019.01.11 11:40
미국 해군이 남중국해에서 하고 있는 ‘항행의 자유’ 작전에 맞서 중국이 항공모함과 구축함을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탄도미사일을 배치했다고 중국 국영 미디어가 전했다. 이는 중국 고위 장성이 미국 해군 함정 2척을 침몰시켜야 한다고 협박한 이후 이뤄져 큰 파문을 낳고 있다. 중국 중앙(CC)TV는 지난 8일 탄도미사일 ‘둥펑 DF26’이 자국 북서부에 배치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의 유도미사일 구축함이 다수의 나라가 영유권을 다투는 남중국해의 파라셀군도 인근과 대만해협 항행한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되고 있다. '항모킬러'라는 별명을 가진 DF26 미사일은 핵탄두 또는 재래식 탄두 여러 개를 탑재할 수 있으며, 사거리가 3,2019.01.07 11:21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태국 최신 호위함 '푸미폰 아둔야뎃함(Bhumibol Adulyadej)이 7일 태국 해군에 정식 인도된다.이 함정은 대우조선해양이 2013년 수주한 것으로 한국을 전투함정 수출국 반열에 올려놓은 함정이다. 대우조선해양은 태국해군과 조선분야는 물론 함정건조 분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만큼 한국과 태국간 전투함정 공동 건조사업도 속도를 더할 것으로 보인다. 태국 타이포스트는 5일 푸미폰이 태국에 도착했으며 촌부리성 해군기지에서 태국 해군에 인도된다고 보도했다.푸미폰함은 대우조선해양이 \은 2017년 1월23일 경남 거제시 옥포조선소에서 진수한 최신예 호위함이다.대우조선이 자체 기술로 개발한 DSME-DW2019.01.06 09:22
필리핀에 이어 인도에서도 고배를 마실 것인가? 한국우주항공(KAI)이 필리핀에 국산 수송헬기 수리온을 수출하려다 미국산 헬기에 무릎을 꿇은 데 이어 이번에는 한화디펜스가 인도에 대한 대공포 수출을 하려고 하지만 러시아가 인도정부에 이의를 제기했다눈 보도가 나오고 있다. 한국 정부는 필리핀과 러시아, 인도 등과 관계를 강화해왔지만 '수지맞는 ' 방산시장에서 강대국들의 입김이 워낙 강해 시장을 파고들기기 쉽지 않은 형국이다.유라이시아타임스(ET)온라인 군사잡지 '디펜스 블로그' 등은 4일과 5일(현지시각) 한국의 한 일간지 보도를 인용해 러시아가 한국의 인도에 대한 대공포 판매에 이의를 제기했다고 잇따라 전했다. 러시아2019.01.02 06:00
F-16 파이팅 팰콘은 1974년 2월 미국의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첫 비행에 성공했고 1978년 8월 미 공군에 본격적으로 배치되기 시작했다. 올해로 비행 45년째다. F-15 전투기를 보조하는 경(輕)전투기로 운용된 F-16은 수출국의 요구사항이 더해지며, 다목적 중(中)형 전투기로 진화했다. 지난 45년 D안 F-16은 최초 생산형인 A/B형을 시작으로, C/D형까지 발전했다.블록 1을 시작으로, 7번의 주요 블록 변경이 있었다. 주요 변경 내용으로는 전투기에 탑재되는 항공전자장비와 엔진의 변경 등이다. F-16 전투기는 현재 미군용이 아니라 수출용으로 생산되고 있다. F-16 전투기의 공식적인 명칭은 파이팅팰콘이지만, 블록 70형은 바이퍼(Viper)로2018.12.31 08:59
대우조선해양의 기술이전으로 인도네시아에서 건조, 조립된 세 번째 잠수함이 곧 인도네시아 해군에 인도된다고 인도네시아 안타라뉴스가 전했다. 인도네시아는 또 214급 잠수함 3척 발주도 추진하고 있어 대우조선해양이 수주할지에 이목이 집중된다.안타라뉴스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해군은 국영 PT 팔 인도네시아가 10월 인도하기로 확약한 3번째 잠수함을 곧 취역시키기로 했다고 지난 27일 보도했다.앞서 인도네시아는 2011년 대우조선해양에 1400t으로 개량된 209급 잠수함 3척을 발주했다.이 가운데 세 번째 잠수함은 대우조선해양의 기술지원으로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의 탄중 페라크항의 PT 팔 인도네시아의 조선소에서 건조된 것이다.2018.12.22 18:15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방위상이 20일 기자회견에서 한국 해군 함정이 화기 관제 레이더로 일본 자위대 해상초계기를 겨냥했다고 밝히면서 이 초계기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야 방위상은 이번 사태가 발생한 곳은 독도에서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곳"이었다며, 레이더 발사는 "P-1 초계기에서 눈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일본 측은 한국에 재발 방지를 요구했고 한국 측은 북한 어선 구조과정에서 화기관제 레이더를 작동한 것으로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해군 함정은 지난 20일 동해상에서 표류 중이던 북한 어선을 구조하는 과정에서 화기(火器) 관제 레이더를 작동했고, 이 레이더가 일본 자위대의 해상초계기를 겨냥하게2018.12.22 01:07
방위사업청이 연안 방어의 최일선을 담당할 230t급 신형 고속정(PKMR)을 동시에 3척 진수했다. '참수리-212', '참수리-213', '참수리-215'정이 주인공이다. 이미 '참수리-211정'은 지난해 11월 1일 취역식해 실전운용되고 있다. 신형 고속정은 모두 30여척이 건조돼 2020년대 말에는 기존 참수리급 고속정을 완전 대체할 예정이다. 500t급 대형 윤영하급 고속함에 이어 화력이 대폭 강화된 신형 참수리 고속정이 속속 진수,배치됨으로써 우리군의 연안 전투력 또한 급상승하고 있다. 이들 함정들은 북한의 고속정과 반잠수정에는 저승사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22일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신형 고속정 3척의 진수식이 21일 한진중공업 부산 영도1
美 정부, 비트코인·이더리움·XRP·솔라나·카르다노 보유량 대규모 감사2
리플 XRP, 이더리움과 손잡고 DeFi 시장 '게임 체인저' 노린다... 솔라나는 '주춤'3
트럼프 25% 상호관세 발표 "한국· 일본 최악" … 뉴욕증시 비트코인 "스태그 충격"4
현대차그룹, 서울모빌리티쇼서 신차 총출동…넥쏘 신차 '최초 공개'5
트럼프 상호관세 20% 즉각 발효6
'닌텐도 스위치 2' 6월 5일 발매…일본은 49만원, 해외는 68만원7
크라켄, 리플 스테이블코인 RLUSD 상장...호재에 XRP 가격 상승하나8
한텍, 주가 급등 속 시총 3000억 돌파...美 LNG프로젝트 이어 SMR프로젝트 기대9
트럼프 25% 상호관세 "해방의 날 공식발표" … 뉴욕증시 비트코인 "미란보고서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