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28 17:30
우리나라 만큼 기업하기 어려운 나라가 없다. 정치가 경제를 지배하는 풍토가 여전히 만연해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기업가로 살아가는 것은 참 힘든 일이다. 정치가 경제를 지배한 대표적인 사례는 대통령과 재계 총수들의 독대다. 최순실 게이트로 말미암아 박근혜 전 대통령과 총수들의 독대가 주목을 받았지만 이러한 악습은 과거부터 이어져 왔다. 옛 정권은 권력을 유지할 자금줄로 대기업을 키웠다. 총수들은 정권에 돈을 내는 방식으로 정권이 제공한 각종 혜택에 응답했다. 지난 1988년 일해재단 건부터는 정권에 직접 돈을 쥐어주는 방식 대신 재단 출연금 등으로 자금을 지원했다. 이 관행은 미르·K스포츠재단 자금출연까지2017.03.18 06:18
삼성의 이명(異名·달리 부르는 이름)은 ‘관리의 삼성’이다. 이병철 선대 회장은 삼성물산과 제일제당, 제일모직 등 계열사가 늘어나자 체계적인 그룹 관리를 위해 비서실 조직을 만들었다. 이 조직은 삼성이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던 1970년대를 거치면서 명실공히 ‘관리의 삼성’ 헤드쿼터로 자리잡았다. 1959년 출범한 비서실은 구조조정본부(구조본), 전략기획실, 미래전략실로 이름을 바꿔하며 58년간 삼성을 진두지휘했다. 하지만 이 조직은 지난달 28일 해체됐다. 삼성이 미전실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두가지 말이 떠올랐다. 읍참마속(泣斬馬謖)과 토사구팽(兎死狗烹)이다. 울면서 마속을 벤다는 뜻을 가진 읍참마속은 대의를 위해 측근이2017.03.13 09:54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1월부터 2개월간 서울 강남 8개 재건축조합에 대해 서울시와 합동으로 집중 점검했다. 그 결과 무려 124건의 불법 행위를 적발했다. 비위가 적발된 조합들에 대해서는 시정명령, 행정지도 등을 조치했다. 더욱이 8곳 중 3곳에 대해서는 심각한 비리가 적발돼 조합장 교체를 권고하고 경찰에 수사의뢰까지 했다. 그러나 해당조합이 어디인지는 불분명하다. 그래서 국토부 관계자에게 “방배3구역이 여기에 포함되는가”라고 질문했다. 그러자 그는 “그 조합만큼만 운영한다면 저희도 신경 쓸 것이 없다”고 답했다. 그만큼 방배3구역은 ‘청렴’했다는 얘기다. 그런데 인근 구역에서 범상치 않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 최근2017.02.28 04:00
금융권에 때 아닌 운동장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금융투자협회(금투협)와 은행연합회(은행연)가 운동장을 비유로 들며 서로에게 날을 세우고 있다. 금투협은 은행 때문에 운동장이 ‘기울어져 있다’고 말한다. 은행연은 국제경쟁력을 갖추려면 ‘종합운동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들은 나름의 ‘논리’를 내세우며 오랜 기간 속으로 삭여오던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주장은 다르지만 목적은 같다. 그간 금지됐던 새로운 사업 진출이다. 금투협은 법인지급결제가 10년 전부터 허용 움직임이 있었지만 은행의 반대로 미뤄졌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은행 측은 세계적으로 이런 사례가 없고 증권사가 은행업을 영위하면 은행권이 리스크를2017.02.22 10:34
"투자가 아니라 투기입니다"정치테마주에 묻자 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은 이렇게 한마디로 정리했다. 막연한 기대로 오를 뿐 기업가치와 무관하다는 것이다. 한탕주의로 확산돼 건전한 투자문화정착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지도 우려했다. 요즘 정치테마주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탄핵정국에 따른 조기대선기대감이 커지며 유력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정치인 이름을 딴 테마주들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테마주로 엮는 사유도 각양각색이다. 대표이사가 같은 학교동문이면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다. 혈연지연도 막강한 이유다. 경영진 중 친인척이 있으면 테마강도는 더 세다. 입지적 이유도 있다. 대선주자의 지역에 본사나 공장, 토지가 있으면2017.02.07 09:59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을 둘러싼 안팎의 우려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국내 금융시장에 일대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는 다소 성급한 기대감은 차치하더라도 절차상의 문제(입법권 침해 논란), 그리고 제 2의 동양사태라는 극단적 시나리오까지 거론된다. 인터넷전문은행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논거는 '지금도 늦었다'로 요약된다. 그도 그럴 것이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전문은행이 처음 등장했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두차례에 걸쳐 무산된 전례가 있다. 실로 한참 늦은 셈이다. 같은 이유로 은산분리 원칙을 고수해야 한다는 주장을 '딴지' 쯤으로 치부하는 목소리도 심심찮게 나온다. 반면 정치권은 물론 일1
美 정부, 비트코인·이더리움·XRP·솔라나·카르다노 보유량 대규모 감사2
리플 XRP, 이더리움과 손잡고 DeFi 시장 '게임 체인저' 노린다... 솔라나는 '주춤'3
트럼프 25% 상호관세 발표 "한국· 일본 최악" … 뉴욕증시 비트코인 "스태그 충격"4
현대차그룹, 서울모빌리티쇼서 신차 총출동…넥쏘 신차 '최초 공개'5
트럼프 상호관세 20% 즉각 발효6
'닌텐도 스위치 2' 6월 5일 발매…일본은 49만원, 해외는 68만원7
한텍, 주가 급등 속 시총 3000억 돌파...美 LNG프로젝트 이어 SMR프로젝트 기대8
아이온큐, 최신 양자 컴퓨터 클라우드 출시로 주가 5.07% 급등9
트럼프 25% 상호관세 "해방의 날 공식발표" … 뉴욕증시 비트코인 "미란보고서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