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5 01:30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두 달 만에 석유업계가 주 정부 기후규제를 무력화하기 위한 연방정부 차원의 개입을 요청했다. 지난 22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미국 주요 석유기업 CEO들은 백악관에서 열린 회의에서 주 정부의 온실가스 과징금과 기후소송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석유·가스 업계 경영진들은 지난 19일 백악관 회동에서 온실가스 배출에 대해 벌금을 부과하는 뉴욕과 버몬트 주의 법안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들은 또한 엑손모빌, 셰브론, 쉘 등을 상대로 주 및 지방 정부가 제기한 수십 건의 기후소송에 대해서도 논의했다.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주 정부의 조치가 자2025.03.25 01:15
중국이 대만을 완전히 봉쇄하고 고립시킬 수 있는 군사적 능력을 대폭 강화하며 세계 최대 규모의 해군력을 바탕으로 대만 봉쇄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3일(현지시각) "중국군이 그 어느 때보다도 대만을 포위하고 세계와 단절시켜 굴복시킬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중국의 대만 봉쇄는 세계적인 위기를 촉발하는 전쟁 행위가 될 것"이라며 이는 대만의 군사 대응을 유발하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군 개입 결정을 강요할 뿐 아니라 세계 무역을 방해하고 유럽 국가들의 대중국 제재 압박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미 국방부에 따르면 중국은 약 1900대의 제트 전투기와 500대의 폭격기, 대만에2025.03.25 01:05
소프트뱅크그룹(이하 소프트뱅크)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엔비디아가 장악하고 있는 시장에 과감히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이미 오픈AI와 손잡고 미국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스타게이트 계획'을 발표했고, 최근에는 미국 반도체 설계 회사 암페어 컴퓨팅을 인수하며 AI 시대를 향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겸 사장의 AI 패권 전략을 집중 조명한 24일자(현지시각) 다이아몬드 온라인 특집 기사를 소개한다.◇ 'AI 패권=연산 능력'...데이터센터와 반도체 확보 나서손정의 회장은 2022년 11월 오픈AI의 챗GPT 공개 이후 생성형 AI에 주목하며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2025.03.25 01:00
중국이 반도체 미세공정에 필수적인 심자외선(DUV) 레이저를 고체 형태로 개발하는 데 성공, 기술 자립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고 제노 스펙트럼이 지난 2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중국과학원 항공우주정보연구원 GBA(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 지부 연구팀은 반도체 칩 제조에 사용되는 파장 193nm의 DUV 레이저 광원을 고체 형태로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 학술지 '어드밴스드 포토닉스 넥서스(Advanced Photonics Nexus)'에 게재됐다. 이번 성과는 기존 가스 기반의 엑시머 레이저 대신 고체 레이저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연구팀은 자체 제작한 Yb:YAG(이터븀 도핑 이트륨 알루미늄 가넷) 결정 증폭기를 이용, 여2025.03.24 13:3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추가 관세 부과가 임박하면서,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선적 전쟁'에 돌입했다. 4월부터 시행될 예정인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해, 차량과 핵심 부품의 미국 수출 물량을 최대한 앞당겨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23일(현지시각)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 자동차 운반선들이 평소보다 "수천 대" 더 많은 차량을 미국으로 수송하기 위해 아시아와 유럽으로 급파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발등에 불' 떨어진 車 업계...2월 수출 물량 급증세계 최대 자동차 운송 선사인 발레니우스 빌헬름센의 라세 크리스토페르센 CEO는 FT와의 인터뷰에서 "아시아발 물량이 고객사들의 수요를 우리가 감2025.03.24 11:00
미국이 글로벌 무역전쟁을 우려케 했던 광범위한 관세 부과 정책을 수정해 주요 무역 불균형 국가들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변경했다.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3일(현지시각) 복수의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로 지칭한 오는 4월 2일부터 시행될 관세 정책의 범위가 축소된다고 보도했다. 당초 예고했던 자동차, 제약, 반도체 등 특정 산업 부문에 대한 관세는 철회하고, 미국과 지속적인 무역 불균형을 보이는 국가들에 집중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백악관 관계자는 WSJ에 "부문별 관세는 현재 4월 2일에 발표될 것 같지 않다"면서도 "상호 관세 조치는 여전히 그날 발표할2025.03.24 10:55
대만 반도체 제조 회사 TSMC가 삼성전자와 인텔의 경쟁 속에서도 첨단 2나노미터 공정 기술 분야에서 선두를 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타이베이타임스는 24일(현지시각) 시장분석업체 트렌드포스를 인용해 "TSMC의 정교한 제품과 대규모 생산 능력이 올해 글로벌 2나노미터 공정 시장에서 지속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TSMC는 올해 하반기 신주 공장에서 2나노미터 공정 기반 칩의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또한 다음 주 월요일에는 가오슝 공장에서 2나노미터 생산 확대를 위한 기념 행사를 개최한다. 이와 관련해 TF 인터내셔널 증권의 궈밍치(郭明錤) 애널리스트는 TSMC의 2나노미터 시2025.03.24 10:23
세계 명품차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BMW와 아우디 같은 고급 브랜드들이 관세 폭탄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3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BMW 3시리즈와 아우디 Q5 등 고급 자동차 브랜드들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규정을 충족하지 못하는 약 12개 외국산 모델이 이달 초 발효된 25% 추가 관세의 영향권에 놓였다. 업계 데이터에 따르면 이는 작년 미국에서 판매된 약 30만 대의 차량에 해당하며, 전체 미국 자동차 판매량의 약 2%를 차지한다.◇ 명품차 브랜드, 관세 충격에 비상 대응BMW 3시리즈는 한때2025.03.24 10:01
캐나다인들이 미국산 제품 구매를 피하는 방법을 서로 공유하며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캐나다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와 "캐나다를 51번째 주로 만들겠다"는 발언에 캐나다 국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전 저스틴 트뤼도 총리를 "주지사"라고 부르고 캐나다를 "거래하기 가장 까다로운 국가 중 하나"라고 묘사한 것도 분노를 확산시켰다고 배런스는 지난 23일(현지시각) 보도했다.이에 캐나다인들은 자국 내에서 소비를 늘리겠다며 소셜미디어에서 미국 브랜드와 기업 불매 방법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를 돕는 앱까지 등장했다.캘거리 주민 라이언 체코라와 그의 어머니 캐시가 개발한 'O SC2025.03.24 07:59
베트남 매체 즈뉴스(Znews)가 지난 23일(현지시각)는 일론 머스크가 미국 정부효율부(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DOGE) 사무실에서 삼성 오디세이 G9 게이밍 모니터를 사용하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보도했다.머스크는 지난 22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 X를 통해 정부효율부 내 업무 공간 사진을 공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사진에서 삼성 오디세이 G9 게이밍 모니터가 눈에 띄었으며,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는 머스크가 이 장비로 디아블로 IV 등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을 즐기는 것으로 추측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디아블로 IV는 출시 당시 판매 기록을 경신한 게임 시리즈"라고 설명했다.삼성 오디세이 G9은 5,2025.03.24 07:45
탄자니아가 철도 현대화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탄자니아 철도공사(TRC)는 시속 160km의 고속 전기열차 17대를 도입해 지난해 12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다고 데일리 뉴스가 지난 23일 보도했다.TRC 마산자 카도고사 사무총장은 기자회견에서 "2021년 7월 14일 한국의 현대로템과 17대의 전기열차 기관차를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차량들은 2024년 12월부터 인도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카도고사 사무총장은 또한 "TRC는 현대로템과 여객열차(Electric Multiple Units – EMU) 10세트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차량들은 이미 국내에 도착해 테스트를 마쳤다"고 설명했다.이와 함께 TRC는 중국 철도차량공사(CR2025.03.24 07:33
미국과 중국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호주 조선업체 오스탈(Austal)의 미국 내 조선소가 전략적 인수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호주 현지 언론 '디 오스트레일리안'이 지난 23일(현지시각) 보도했다.이 보도에 따르면, 업계 관계자들은 상장 조선회사 오스탈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도, 잠재적 인수와 관련해 정작 핵심은 다른 곳에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현재 시장 가치 8억 달러(약 1조1724억 원)에 달하는 오스탈은 사모펀드나 헌팅턴 잉걸스 인더스트리즈와 같은 방산업체의 인수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업계 관계자들은 인수전의 핵심이 오스탈 자체보다 미국 해군 함정 건조권을 보유한 앨라배마주 모바일 소재 오스탈의 미국 기반2025.03.24 01:45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자본의 이탈과 제재로 타격을 입은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압류 자산을 포함한 대규모 민영화 계획을 발표했다.뉴스위크는 지난 23일(현지시각) 보도를 통해 러시아 정부가 7개 대기업의 지분을 매각해 3000억 루블(약 5조2020억 원)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은 지난 18일 "우리는 대대적인 민영화에 대한 제안을 받았다"고 말했다.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러시아 연방 재산 관리 기관인 로시무쉬체스트보(Rosimushchestvo)와의 회의에서 이루어졌으며, 법원 명령에 의해 압류된 자산을 포함한 국유 자산의 민영화가 서방 자본이 이탈한 후 정부 금고를 늘릴1
美 정부, 비트코인·이더리움·XRP·솔라나·카르다노 보유량 대규모 감사2
리플 XRP, 이더리움과 손잡고 DeFi 시장 '게임 체인저' 노린다... 솔라나는 '주춤'3
트럼프 25% 상호관세 발표 "한국· 일본 최악" … 뉴욕증시 비트코인 "스태그 충격"4
현대차그룹, 서울모빌리티쇼서 신차 총출동…넥쏘 신차 '최초 공개'5
트럼프 상호관세 20% 즉각 발효6
'닌텐도 스위치 2' 6월 5일 발매…일본은 49만원, 해외는 68만원7
한텍, 주가 급등 속 시총 3000억 돌파...美 LNG프로젝트 이어 SMR프로젝트 기대8
아이온큐, 최신 양자 컴퓨터 클라우드 출시로 주가 5.07% 급등9
트럼프 25% 상호관세 "해방의 날 공식발표" … 뉴욕증시 비트코인 "미란보고서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