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대학혁신지원사업 및 국립대학 육성사업’ 개편 시안에서 제시
광역선발·학부제 실패 전적 있어…비인기과 모집난
상위권 대학 ‘쏠림’ 가능성도 배제 못 해
광역선발·학부제 실패 전적 있어…비인기과 모집난
상위권 대학 ‘쏠림’ 가능성도 배제 못 해

14일 수도권 대학가에 따르면 2025학년도 대입에서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이화여대, 중앙대, 경희대, 한국외국어대 등 서울 주요 10개 대학이 총 1094명 규모를 무전공으로 선발한다.
이 밖의 주요 대학들도 올해 입시부터 광역(단과대 단위)·계열 단위 모집정원을 신설 및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교육부가 지난 2일 ‘대학혁신지원사업 및 국립대학 육성사업 개편 시안’을 발표해 무전공 입학을 확대하면 국고 인센티브를 지급하겠다는 정책을 논의 중이라 밝힌 데에 따른 것이다.
수도권 대학과 주요 국립대학이 2025학년도에 모집인원의 20%, 2026학년도에 25% 이상을 무전공으로 선발해야 한다는 조건 내용이 시안의 골자다. 국가장학금Ⅱ 수급 자격을 갖추기 위해 수년간 등록금을 동결하고 있는 대학들 입장에선 절호의 기회인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들의 무전공 선발을 독려하며 “학생이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확대하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앞으로 자율전공선택제를 확대하는 대학에 대해 관련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광역선발과 학부제는 모두 실패의 전례가 있다. 광역선발의 시초인 학부제는 1994년부터 국고와 연계해 추진돼왔지만 2000년 들어 종적을 감췄다.
주된 원인은 비인기학과의 모집난이었다. 과거 자연과학부에서 ‘약대 편입’과 ‘의학전문대학원’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화학과와 생명과학과로 쏠리는 바람에 수학과와 물리학과 등 기초학문 학과의 모집에는 어려움이 컸다.
자유전공학부도 마찬가지다. 2009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도입으로 법학과를 폐지하고 기존 정원을 활용해 도입됐으나 인기학과 경쟁률만 높일 뿐이었다.
아울러 무전공 입학의 모집 규모가 계속해서 커진다면 수험생들이 상위권 대학으로 몰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장은 “합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주요 대학으로의 쏠림 현상이 강화돼 상위권 대학의 경쟁률이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대학 서열화가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이 남 소장의 판단이다.
이렇게 된다면 정부가 추진하는 ‘지방시대’의 교육발전특구 계획과도 어긋나게 된다. 현재도 신입생 미달사태가 지속되는 지방대가 학생을 모집하기 더 어려워질 것이다.
교육부는 올해 무전공 입학 확대를 위한 세부지침을 확정해 이달 중 발표한다는 방침인데, 이 같은 부작용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는지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수습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