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스마트폰 기업 'AI 혁신'의 이면, 사생활 침해 우려 커져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스마트폰 기업 'AI 혁신'의 이면, 사생활 침해 우려 커져

"편의성 높이려 접근성 권한 악용...개인정보 무단수집 논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오포(Oppo)의 광고를 지나치는 통근자.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오포(Oppo)의 광고를 지나치는 통근자. 사진=로이터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AI 기술을 앞세워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지만, 개인정보 보호와 사용자 자율성 침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샤오미, 비보, 오포, 아너 등 중국 기업들의 AI 기반 서비스가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고 13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최근 출시된 아너의 매직7 스마트폰은 음성 명령만으로 2000잔의 커피를 주문하는 기능을 선보여 주목받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능이 사용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중국 기업들이 장애인을 위한 안드로이드 접근성 권한을 악용해 개인정보에 접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021년에는 이러한 권한을 이용해 위챗의 디지털 거래를 가로채는 앱 개발자들이 기소된 바 있다.

서구 기업들도 유사한 AI 기능을 개발 중이지만, 접근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는 '리콜' 기능에 대한 반발로 기능을 수정했다. 애플은 온디바이스 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출시하면서 사용자 동의와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AI 기반 의사결정이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이뤄질 경우, 이는 사용자 경험 향상이 아닌 감시가 될 수 있다"며 "해커들이 이를 악용할 경우 금융데이터나 개인정보 유출 위험도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은 생성형 AI 규제안을 마련했지만, 구체적인 시행 방안은 불분명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AI 기술의 편의성과 개인정보 보호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며 "더 강력한 규제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