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18 06:15
인기 고공 행진을 지속하고 있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식상한 고객들이 늘면서, 하반기 들어 중형 세단이 주목받고 있다.제네시스 G70 터보와 르노삼성의 신형 SM6, 볼보의 신형 S60 등이 그 주인공이다. 여기에 그동안 닛산의 한국 성장을 견인한 알티마 역시 국내 고객의 시선을 한몸에 받고 있다.다만, 최근 한일간의 갈등으로 알티마가 다소 주춤하고 있다.1987년 국내 수입차 시장이 개방된 이후 시장 개방 초기에는 수입차 고객이 매국노로 치부됐다. 일반인들이 주차된 벤츠 차량에 돌을 던지거나, 못 등으로 흠집을 내는 일이 다반사. 현재 세계는 지구촌 시대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자유무역(FTA) 영2019.10.11 04:53
쌍용자동차(대표이사 예병태)가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사상 처음으로 업계 3위에 올랐다. 올해 국산차 판매가 감소하고 있지만, 쌍용차는 여전한 성장세로 업계 3위를 유지하고 있다.고객 입맛에 맞는 신차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어서 이다. 실제 쌍용차는 1월 렉스턴 스포츠 칸, 2월 코란도 디젤, 6월 티볼리 가솔린·디젤에 이어 8월에는 코란도 가솔린을 각각 선보였다. 최근에는 자사의 고급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G4 렉스턴의 2020년형을 내놓고 내수 판매를 강화하고 나섰다.이중 하반기 국내 신차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코란도 1.5 가솔린 터보를 타고 지난 주말 수도권 일대를 달렸다. 코란도 1.5는 소형 SUV이지만, 2011년2019.10.04 06:16
일본 완성차 업계 ‘빅3’ 가운데 하나인 혼다는 우리나라 수입차 시장에서 연간 1만대 판매를 개척한 첫 수입차 업체이다. 혼다는 한국 진출 첫해인 2004년 1475대를 판매해 업계 5위에 오른 이후 꾸준히 판매 상위 4위 안에 들었다. 그러다 한국 진출 4년만인 2008년 1만2356대로 국내 수입차 업계 1위에 올랐다. 1987년 우리나라 수입차 시장이 개방된 지 21년 만이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와 BMW가 한국 진출 각각 23년과 22년만인 2010년 1만대 판매를 돌파한 점을 고려하면 혼다 차량의 우수성을 대한민국 고객이 입증한 셈이다. 다만, 혼다는 독도 영유권 문제를 놓고 한국와 일본이 극명하게 대립한 2009년 판매에서는 전년보2019.09.27 06:23
‘웅장하고 화려하다.’ 올해 상반기 한국에 상륙한 BMW의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7을 정의한 말이다. 독일의 고급완성차 브랜드 BMW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브랜드 정체성을 살린 라인업을 속속 선보인데 따른 것이다. 이번에 만난 X7 역시 최근 출시된 세단 7시리즈에 버금가는 최첨단 안전편의 사양을 대거 기본으로 지녔다. X7 라인업 가운데서도 최상위 트림인 xDrive M50d를 타고 서울 도심을 26일 달렸다. 스마트키를 지니고 운전석 도어를 열자 화려한 1열이 눈에 확 들어온다. 종전 최상위 트림이던 X6과는 차원이 다르다. 크리스탈 재질의 버튼을 눌러 시동을 걸었다. 쿼드터보 직렬 6기통 디젤 엔진2019.09.20 06:14
단일 차량으로 세계에서 가장 주행 거리가 긴 자동차는 1961년 생인 볼보의 P1800이다.한 미국인은 1961년형 P1800으로 42년간 지구에서 달(38만㎞)까지 6번을 왕복하고도 달까지 한번 더 갈 수 있는 거리 이상(510만㎞)을 달렸다. P1800은 이 같은 기록으로 2003년 세계 기네스에 올랐으며, 현재까지 P1800의 기록을 깬 차량은 등장하지 않았다.아울러 007시리즈의 주인공이던 고(故) 로저 무어의 애마로 P1800은 유명세를 탔다. 그러던 P1800이 볼보의 3세대 신형 S60으로 환생했다. 볼보의 미국 디자인센터장 티 존 메이어가 P1800에서 영감을 받아 신형 S60을 디자인 한 것이다.볼보의 신형 S60을 타고 인천 영종도에서 경기 시흥시까지 120㎞2019.09.06 06:28
볼보의 전략 모델인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C 시리즈와 다목적 차량(MPV) V 시리즈 가운데 마지막으로 V90 크로스컨트리 D5를 타고 지난 주말 서울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 등을 달렸다. 이번 시승에서 얻은 결론은 최근 시승한 5개의 XC와 V 시리즈 가운데 V90 크로스컨트리가 D5의 완성도가 가장 높다는 것이다. 다른 모델들도 탁월하지만, V90 D5가 그만큼 잘 다듬어 졌다는 뜻이다. 서울 역삼동 GS타워 앞에서 V90 D5를 만났다. V90 D5의 외관은 XC시리즈와 V시리즈와 크게 다르지 않다. 토르망치가 누워 있는 볼보의 대형 발광다이오드(LCD) 헤드라이트와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 그 위에 상승 의미를 담은 볼보의 엠블2019.08.30 06:26
르노삼성자동차의 소형 해치백 클리오를 타고 강원도 태백시에서 양양군 하조대해수욕장까지 130㎞를 최근 달렸다. 클리오는 1.5 디젤 엔진을 공유하는 QM3의 형제라고 생각하면 맞다. 차이가 있다면 스포츠유틸리티(SUV)와 해치백인 게 다르다. 이번 시승에 대한 결론부터 말하면 클리오의 주행질감은 포뮬러(F)1 머신처럼 경쾌하고, 주행 중 무게 중심이 아래로 쏠리면서 안정적이라는 것이다. 운전을 즐기는 2030 세대가 연인, 친구와 호젓한 주말 드라이브를 위해 클리오가 최적화 된 차량이랄까? 태백 오투리조트 주차장에서 만난 하얀색 클리오가 최근 심한 일교차로 짙은 안개 속에서 당당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2019.08.23 06:17
QM3은 2013년 말 당시 박동훈 르노삼성자동차 부사장이 전년 45%가 넘는 자사의 내수 판매 감소세를 극복하기 위해 야심차게 모기업 프랑스 르노에서 들여온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캡처’의 우리나라 이름이다. 당시 1000대 한정으로 들여온 QM3은 판매 개시 7분 만에 완판 되면서 일찌감치 국내 돌풍을 예고했다. 실제 2014년 QM3은 모두 1만8191대가 판매돼 자사의 전체 판매(8만3대) 가운데 22.7%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같은 해 자사의 내수 판매 33.3%의 급성장을 이끌었다. 이후 경쟁사가 앞다퉈 소형 SUV를 출시하면서 내수에서 QM3의 국내 입지는 좁아졌지만, 여전히 르노삼성의 전략모델이다. 현재 유럽에2019.08.16 06:16
XC40은 볼보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C시리즈의 막내로 불린다. 다만, XC시리즈의 마지막 시승에서 느낀 점은 XC40이 장남 XC90에도 전혀 밀리지 않는 다는 것이다. XC40 T4를 타고 서울 강변북로를 달려 경기도 구리를 찍고, 한강변 서울마리나를 14일 찾았다. XC40은 XC시리즈 가운데 가장 낮은 수를 지니고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으로 착각한다. XC40 T4는 2.0 가솔린 터보 엔진을 탑재해 90, 60과 동급이다. 차량 특성에 맞게 차체 크기와 안전편의 사양, 가격 등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실제 90의 전장과 전폭, 전고, 휠베이스는 각각 4950㎜, 1960㎜, 1775㎜, 2984㎜로 XC시리즈 가운데 가장 크다. 90이 볼보의2019.08.09 06:51
4륜구동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명가 피아트크라이슬러(FCA)의 지프를 대표하는 차량은? 모두 랭글러라고 생각할 것이다. 틀린 답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정답도 아니다. 지프는 1987년 랭글러를 선보였다. 이보다 앞서 지프는 체로키를 1974년 세상에 내놨다. 체로키가 랭글러보다 13살 형인 셈이다. 4월 한국에 상륙한 모두 12종의 지프 가운데 체로키 2.2 디젤 오버랜드를 타고 8일 자유로를 달렸다. 이번에 시승한 차량은 지프를 창립한 ‘윌리스 오버랜드’의 성을 딴 ‘오버랜드’ 트림이다. 주차장에서 만난 신형 체로키의 전면은 헤드라이트가 기존에는 밋밋했지만, 이번에는 쫙 찢어진 야수의 눈을 형상화2019.08.02 04:21
“지난 10년간 볼륨 확장에 주력했죠. 이제는 브랜드 정체성에 맞게 양보다는 질, 프리미엄을 지향할 계획입니다.” BMW그룹 코리아(대표이사 한상윤)에서 홍보를 총괄하고 있는 주양예 상무의 말이다. 독일의 고급(프리미엄)완성차 브랜드인 BMW는 우리 정부가 수입차 시장을 개방한 이듬해인 1988년 한국에 진출해 수입차 주요 브랜드로 자리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그러다 BMW 코리아는 2009년 업계 1위에 오르더니, 2015년까지 7년 간 부동의 업계 1위를 달렸다. 다만, 2015년 9월 불거진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배기가스 조작사건)로 디젤 세단의 인기가 사그라 들면서 BMW는 2016년 업계 2위로 밀렸다. BM2019.07.26 03:20
전기자동차 전문 업체 미국 테슬라의 전기차는 하이엔드(고가격·고성능)를 구현했다. 이는 테슬라가 시장 진출 초기 부가가치를 극대화 한 다음, 보급형 차량을 출시한다는 경영전략을 구사하는데 따른 것이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X에 이어 스포츠 세단 모델 S를 타고 서울 강남 청담에서 당산, 성수동 서울 숲, 강북 경희대학교, 다시 청담까지 서울 도심을 25일 달렸다. 모델 S가 모델 X와 다른 점이 있다면 도어핸들이 X는 차체와 같은 높이지만, 모델 S는 평평하다 누르면 튀어 나온다. 도어핸들은 진공층착한 재질을 사용해 차체 색상과 대비되게 한 점은 두 모델 모두 같다. 이번에 시승한 모델 S는 X와 같은1
美 정부, 비트코인·이더리움·XRP·솔라나·카르다노 보유량 대규모 감사2
리플 XRP, 이더리움과 손잡고 DeFi 시장 '게임 체인저' 노린다... 솔라나는 '주춤'3
트럼프 상호관세 20% 즉각 발효4
트럼프 25% 상호관세 발표 "한국· 일본 최악" … 뉴욕증시 비트코인 "스태그 충격"5
'닌텐도 스위치 2' 6월 5일 발매…일본은 49만원, 해외는 68만원6
한텍, 주가 급등 속 시총 3000억 돌파...美 LNG프로젝트 이어 SMR프로젝트 기대7
아이온큐, 최신 양자 컴퓨터 클라우드 출시로 주가 5.07% 급등8
미국 GDP 성장률 "돌연 마이너스 추락"9
현대차그룹, 서울모빌리티쇼서 신차 총출동…넥쏘 신차 '최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