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15 18:26
15일 코스맥스의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코스맥스는 실적부진으로 급락했던 주가가 반등했습니다. 15일 종가는 500원 오른 10만65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주가는 1월 4일의 9만6600원에 비해 10% 상승한 수준입니다.코스맥스는 미국법인이 적자를 계속하며 실적 개선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미국법인의 실적 턴어라운드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되어야 주가 상승 모멘텀이 부각될 전망입니다.코스맥스는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이 적자를 보였습니다. 코스맥스는 3분기 매출액이 3950억원, 영업이익이 250억원, 당기순이익이 -1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코스맥스의 최대주주는 코스맥스비티아이로 지분 25.85%를 갖고 있고 코스맥스비2021.11.15 17:45
15일 한국전력의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한국전력은 지속될 부진한 실적 전망에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15일 종가는 300원 내린 2만285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주가는 1월 4일의 2만6900원에 비해 15% 하락한 수준입니다.한국전력은 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실적이 저조합니다. 실적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기후환경과 관련한 비용 인상과 연료비 조정단가 인상이 필요하고 정부와의 협의도 거쳐야합니다.한국전력은 올해들어 실적이 급격하게 떨어졌습니다. 한국전력은 올해 3분기 매출액이 16조4622억원, 영업이익이 -9367억원, 당기순이익이 -1조25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한국전력의 최대주주는 KDB산업은행으로 지분 32.9%를 갖2021.11.15 16:59
15일 하이트진로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하이트진로는 위드 코로나 기대감에 주가가 올랐습니다. 15일 종가는 400원 오른 3만435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주가는 1월 4일의 3만2000원에 비해 7% 상승한 수준입니다.하이트진로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 비우호적인 업황의 영향으로 부진한 실적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4분기부터는 위드 코로나 시행으로 실적 모멘텀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전망입니다.하이트진로의 분기별 실적은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이트진로는 3분기 매출액이 5574억원, 영업이익이 449억원, 당기순이익이 13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하이트진로의 최대주주는 하이트진로홀딩스로 지분 50.86%2021.11.15 16:18
15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셀트리온헬스케어는 렉키로나 호재에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15일 종가는 7200원 오른 9만27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주가는 1월 4일의 15만1300원에 비해 39% 하락한 수준입니다.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의 셀트리온 3형제 주가는 이날 모두 급등했습니다. 유럽연합(EU)은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의 사용을 공식 승인했습니다.셀트리온헬스케어는 올해 3분기 실적이 저조합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3분기 매출액이 4091억원, 영업이익이 220억원, 당기순이익이 40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셀트리온헬스케어의 최대주주는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로 지분 22021.11.14 07:30
14일 지난 한주간 증시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뉴욕증시는 상승세가 한풀 꺾였습니다. 연초대비 다우는 19%, 나스닥은 25% 상승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코스피가 1%, 코스닥이 3%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미국의 10년물 국채와 한국 10년물 국고채는 소폭 등락하고 있습니다. 미국 서부텍사스유는 80.79 달러로 급등세에서 주춤하고 있습니다. 변동성 지수(VIX)는 16.29로 소폭 내렸습니다.국내 고객예탁금은 67조원대로 연초보다 2% 떨어졌습니다. 국내 신용잔고는 23조7000억원대입니다. 국내 신용잔고는 한때 25조6000억원을 넘었으나 줄어드는 추세입니다.테슬라는 머스크의 주식 매도로 급락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연초보다 42% 상승했고2021.11.14 07:00
14일 VIX 지수와 공포심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공포지수라 불려지는 VIX(변동성 지수)는 소폭 변동하고 있고 CNN BUSINESS의 공포탐욕 지수는 2주째 극도의 탐욕구간에 있습니다. 변동성이 크지 않은 박스권 장세가 예상됩니다. VIX는 12일(현지시간) 16.29를 기록했습니다. 지난주말보다 0.19포인트 낮아졌습니다. 뉴욕증시는 상승세가 주춤하고 있고 변동성 지수는 소폭 등락을 계속하고 있습니다.변동성 지수는 통상 다우 지수가 오르면 반대로 내려갑니다. 헝다그룹 파산설이 나돌때에는 30에 육박했습니다. 20을 넘어서며 공포 구간으로 접어들 때에는 매수를 생각해야 합니다.CNN BUSINESS의 공포탐욕 지수는 83으로 극도의 탐욕 구간에2021.11.13 06:30
12일 LG유플러스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LG유플러스는 실적이 향상됐지만 주가는 박스권을 하고 있습니다. 12일 종가는 200원 오른 1만4300원에 장을 마쳤습니다. 주가는 1월 4일의 1만1850원에 비해 20% 상승한 수준입니다.LG유플러스는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LG유플러스의 올해 영업이익이 1조원 상당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LG유플러스의 분기별 실적은 꾸준히 나아지고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3분기 매출액이 3조4774억원, 영업이익이 2767억원, 당기순이익이 211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LG유플러스의 최대주주는 LG로 지분 37.66%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LG의 최대주2021.11.12 19:32
12일 롯데하이마트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롯데하이마트는 연중 최저가를 찍고 반등에 나섰습니다. 12일 종가는 450원 오른 2만635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주가는 1월 4일의 3만700원에 비해 14% 하락한 수준입니다.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높은 기저효과로 인해 올해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4분기에도 지난해 기저효과를 고려해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고 말합니다.롯데하이마트의 분기별 실적은 회복되어 가는 모습입니다. 롯데하이마트는 올해 3분기 매출액이 1조403억원, 영업이익이 509억원, 당기순이익이 359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롯데하이마트의 최대주주는 롯데쇼핑으로 지분 65.25%2021.11.12 18:34
12일 CJ ENM의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CJ ENM은 콘텐츠 경쟁력 강화에 주가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12일 종가는 1600원 오른 16만9200원에 장을 마쳤습니다. 주가는 1월 4일의 14만1800원에 비해 19% 상승한 수준입니다.CJ ENM은 미디어 부문에서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CJ ENM이 디지털 플랫폼과 TV채널의 경쟁력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 성장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CJ ENM의 분기별 실적은 조금씩 나아지고 있습니다. CJ ENM은 올해 3분기 매출액이 8575억원, 영업이익이 878억원, 당기순이익이 744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CJ ENM의 최대주주는 CJ로 지분 40.07%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CJ의2021.11.12 17:48
12일 HMM의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HMM은 실적 급등에도 주가는 내림세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12일 종가는 요동치다 150원 내린 2만7300원에 장을 마쳤습니다. 주가는 1월 4일의 1만6550원에 비해 65% 상승한 수준입니다.HMM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보다 8배 가량 늘었습니다. 역대 최고 수준의 호실적이지만 피크 아웃(고점후 하락) 우려와 미국 물류난으로 투자심리가 약화된 것으로 보입니다.HMM은 올해 3분기 실적은 급등했습니다. HMM은 3분기 매출액이 4조164억원, 영업이익이 2조2708억원, 당기순이익이 2조299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HMM의 최대주주는 KDB산업은행으로 지분 24.6%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외국인의2021.11.12 16:56
12일 이마트의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이마트는 4분기 실적 기대감에 주가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12일 종가는 4000원 오른 16만25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주가는 1월 4일의 15만1500원에 비해 7% 상승한 수준입니다.이마트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으나 4분기에 대한 기대감은 큽니다. 4분기에는 스타벅스 실적이 연결 기준으로 반영되고 이베이코리아도 종속회사가 됩니다.이마트는 매출이 늘고 있지만 영업이익은 제자리 걸음을 합니다. 이마트는 올해 3분기 매출액이 6조3119억원, 영업이익이 1086억원, 당기순이익이 937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이마트의 최대주주는 정용진 부회장으로 지분 18.56%를2021.11.12 16:14
12일 LG의 주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LG는 주력사업의 모멘텀 강세로 반등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12일 종가는 800원 오른 9만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주가는 1월 4일의 9만1500원에 비해 2% 하락한 수준입니다.LG는 LX와 인적분할 후 주가가 내림세를 보였습니다. 증권가에서는 LG가 화학, 전자 등 주력 사업의 체력이 강화되고 있지만 투자심리 회복에는 이벤트가 필요하다고 얘기합니다.LG는 분기별 실적이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LG는 올해 3분기 매출액이 2조269억원, 영업이익이 6125억원, 당기순이익이 566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LG의 최대주주는 구광모 회장으로 지분 15.95%를 갖고 있고 구광모 회장과 특수1
뉴욕증시 비트코인 와르르 급락 " 엔비디아 쇼크 시진핑 대대적 보복"2
美 법원, SEC-리플 항소 보류 승인...법적 분쟁 마무리 ‘임박’3
아마존, XRP 결제 허용 예정… 리플 생태계 '빅뱅' 예고4
미국, 금 대신 비트코인 선택하나?… 글로벌 금융 질서 '격랑' 예고5
며칠간 급등하더니 아르고, 하루만에 82% 폭락6
이재명 테마주 상지건설, 이달 초 3000원대에서 4만원대로 '우뚝'7
“SEC 항소 정지 명령 받은 리플 소송, 5월 내 최종 합의 가능성”8
제롬파월 "트럼프 관세폭탄 예상보다 더 심각"9
연준 FOMC 파월 "금리인하 전면 재조정" 뉴욕증시 엔비디아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