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02:30
말레이시아 해양 및 해상 계약업체 업계에 오랜 기간 잠잠했던 대형 소송전이 다시 시작됐다고 업스트림 온라인(Upstreamonline)이 지난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말레이시아에 본사를 둔 해양 엔지니어링 및 해양지원 서비스 전문업체 하우메아 오프쇼어(Haumea Offshore)가 무히바 엔지니어링(Muhibbah Engineering)과 말레이시아 최대 조선·해양플랜트 EPC 기업 가운데 하나인 MMHE(Malaysia Marine and Heavy Engineering) 등 자국 업체 두 곳을 상대로 과거 하도급 계약과 관련된 별개의 중재 절차를 한 달 만에 개시했다.◇ 무히바 엔지니어링, 예타군 프로젝트 하도급 중재업스트림 온라인 보도에 따르면, 무히바 엔지니어링은 하우메아2025.05.12 11:12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대표이사 길기연)은 지난 9일 개최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서울관광설명회‘SEOUL MY SOUL in Kuala Lumpur’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12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양국의 관광 교류 활성화를 위해 말레이시아의 주요 여행사와 미디어, 서울 관광기업 등 서울관광설명회 역대 최대 규모 220여 명이 모인 가운데 B2B 트래블마트, 서울관광설명회,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이번 서울관광설명회는 방한 관광객 규모 11위(2024년도 기준)의 말레이시아 관광객들에게 서울의 다양한 매력을 알리고 현지 여행업계와 서울 관광기업이 소통하고 비즈니스를 발굴할 수 있는 판로를 제공코자 진행했다.특히 이번 쿠알라룸푸르 B2B 트2025.05.11 01:15
레이시온이 차세대 '팬텀스트라이크(PhantomStrike)' 레이더의 첫 비행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디펜스포스트가 지난 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시험 성공으로 해당 시스템의 생산과 실전 배치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는 평가다.캘리포니아 온타리오에서 진행된 시험에서, 레이시온의 멀티 프로그램 시험기(Multi-Program Testbed)에 장착된 팬텀스트라이크는 비행 내내 다수의 공중 위협을 성공적으로 추적하고 고해상도 지형 지도를 생성하며 핵심 성능을 입증했다.◇ 세계 최초 '완전 공랭식' 기술 주목브라이언 로셀리 레이시온 첨단 제품 및 솔루션(Advanced Products and Solutions) 부문 사장은 "이번 시험은 팬텀스트라이크가2025.05.09 15:58
전남 보성군은 다음 달 1일까지 한국차박물관에서 ‘말레이시아 차문화 교류 전시(Malaysia Tea Culture Exchange Exhibition: Boseong × Sabah)’를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사바주의 역사·문화·예술은 물론, 원주민 전통의상, 생활 도구, 전통 악기, 차 도구, 사바의 대표 차 제품인 ‘사바차(Sabah Tea)’까지 폭넓게 소개한다.전시장 내에는 사바주의 축제의 유래와 전통문화의 깊이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도 준비됐다. 또한 유기농 ‘보성 차’와 키나발루산 열대우림에서 재배된 ‘사바 차’의 공통점을 부각하며, 친환경 종이 소재로 전시 공간을 꾸며 환경과 전통이 공존하는 글로벌 전시로 주목받고 있다.2025.05.06 10:22
말레이시아가 미국의 추가 협상 합의에 따라 위협적인 미국 관세 인하를 기대하고 있지만, 지속되는 세계 무역 전쟁의 여파로 인해 올해 경제 성장률이 목표치를 밑돌 가능성이 높다고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가 밝혔다고 5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말레이시아는 오는 7월까지 미국과 사전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미국 수출 품목에 대해 24%의 관세가 부과될 위기에 처해 있다.안와르 총리는 5일 의회 연설에서 "이것들은 예비 논의이지만, 미국 정부는 말레이시아와 추가 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했으며, 부과된 상호 관세를 줄일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며 관세 인하에 대한 희망을 내비쳤다. 하지만2025.05.01 12:4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호혜적' 관세 발표를 앞두고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대미 수출을 급격히 늘렸지만, 이는 연말 미국의 수입 수요를 미리 앞당긴 것일 뿐 장기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1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말레이시아의 3월 대미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226억 링깃(52억3000만 달러)을 기록했다. 이는 주로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 제품, 기계 및 고무 제품의 증가에 기인한다. 같은 기간 중국의 대미 수출이 9%, 일본이 3% 증가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동남아 국가들의 수출 증가율이 두드러진다.베트남도 3월 대미 수출이 전년 대비 32% 증가한 112025.04.27 04:35
말레이시아가 미국의 24% 관세 부과 위협에 직면해 보복 관세 대신 미국 상품 수입 확대를 선언하면서, 트럼프의 무역 전쟁 압력에 맞서는 아세안의 지역 연합전선이 약화되고 있다고 25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출 의존 국가들에 전면적 과세를 위협하고 중국은 지역 동맹국들에게 워싱턴에 맞서라고 요구하는 상황에서,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점점 외부 압력에 굴복하고 미국과 개별 합의를 추구하고 있다.25일 말레이시아는 미국과의 무역 흑자 250억 달러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협상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관세 인하 또는 면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미국 상품에 대2025.04.23 10:51
말레이시아가 미·중 무역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양대 경제 대국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위한 외교적 시험대에 올랐다고 23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텡쿠 자프룰 압둘 아지즈 말레이시아 통상부 장관은 고위급 무역 대표단을 이끌고 워싱턴을 방문하여 미국 무역 당국자들과 회담을 갖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말레이시아의 '중립적' 역할을 강조할 예정이다. 하지만 미국은 말레이시아에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할 것을 압박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회담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말레이시아산2025.04.22 04:17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laysia Aviation Group)이 미·중 무역 전쟁 격화로 중국 항공사들이 포기한 보잉 항공기 배송 슬롯을 인수하기 위해 보잉과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중국이 자국 항공사에 보잉 항공기 수령을 중단하고 미국 기업으로부터 항공 장비 및 부품 구매를 중단하도록 지시한 이후 나온 움직임이라고 21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말레이시아 항공의 모회사인 말레이시아 에비에이션 그룹의 이잠 이스마일(Izham Ismail) 최고경영자(CEO)는 20일 현지 통신사 베르나마와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전쟁으로 보잉 배송 슬롯이 사용 가능해지면, 이를 예상보다2025.04.16 07:02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말레이시아 해상에서 첫 탐사 시추를 곧 시작하며 인근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가스전 개발 가능성을 엿본다.15일(현지 시각) 업스트라임 온라인 보도에 따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파트너사인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회사 페트로나스 카리갈리와 함께 말레이시아 반도 동쪽 해상에 위치한 PM 524 광구에서 탐사정으로 첫 시추를 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 해양국 자료에 따르면, 이번 시추는 '마와르 메라(붉은 장미)' 유망 구조에서 진행되며 약 3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르면 이번 주초에 착수될 이번 탐사 작업은 현지 국적의 앵커 핸들링 예인 공급 선박인 SK 파이오니어호와 MV 세티아 히즈라호의 지원을 받는다.2025.04.15 09:14
OCI가 글로벌 시장 불안정과 폴리실리콘 가격 폭락으로 말레이시아 폴리실리콘 사업 상장 계획을 일시 중단했다.지난 14일(현지시각) 테크인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한국 화학기업 OCI 홀딩스는 글로벌 주식시장 변동성으로 인해 말레이시아 폴리실리콘 사업 기업공개(IPO) 계획을 보류했다. 다만 이 회사는 공식적으로 IPO 절차를 취소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OCI 대변인은 "IPO를 포함한 말레이시아 계열사에 대한 옵션을 여전히 평가 중이며 최종 결정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고 밝혔다.이번 IPO 연기 결정은 폴리실리콘 산업이 심각한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글로벌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은 2023년 말 약2025.04.10 10:56
말레이시아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적' 관세 유예 결정을 환영하면서도, 여전히 세계 무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10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자프룰 아지즈 말레이시아 무역투자부 장관은 트럼프가 대부분 국가에 대한 관세를 90일 동안 10%로 인하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현행 조치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10일 아세안 경제장관 화상회의를 주최한 아지즈 장관은 닛케이 아시아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대부분 국가에 대한 관세 인상이 90일 동안 중단된 것을 환영하지만, 중국에 대한 10%의 기본 관세와 현재 122025.04.07 11:26
말레이시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동남아시아 지역의 공동 대응을 주도하겠다고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가 밝혔다고 7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안와르 총리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채널에 게시된 비디오 연설에서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의장국으로서 통일된 지역 전선을 제시하고, 개방적이고 탄력적인 공급망을 유지하며, 국제무대에서 아세안의 집단적 목소리가 명확하고 확고하게 들리도록 하기 위한 노력을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안와르 총리는 별도의 게시물에서 팜 민 찐 베트남 총리와 통화하여 지역의 집단적 대응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또한2025.04.06 08:20
말레이시아가 자국 해군의 전력 증강을 위해 다목적 지원함(MRSS) 2척을 도입하기로 결정하면서 한국·이탈리아·인도네시아 조선소 간 수주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인도네시아 항공·방위 전문 매체 '에어스페이스 리뷰(Airspace Review)'는 지난 5일(현지시각) 말레이시아 해군이 추진 중인 MRSS 사업에 한국 현대중공업(HHI), 이탈리아 핀칸티에리(Fincantieri), 인도네시아 PT PAL 등 3개 조선소가 경쟁한다고 보도했다.말레이시아 국방부는 오는 10월 다목적 지원함 2척에 대한 공식 입찰을 시작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RMN)은 2031년부터 2035년 사이에 이들 사이에 함정을 인도받을 계획이다.말레이시아 해군은 MRSS 도입의2025.04.03 13:39
말레이시아가 중국 기술 기업들의 인공지능(AI) 야망을 실현하는 데이터센터 허브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저렴한 에너지 비용과 미국의 수출 통제로 중국 내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첨단 반도체에 대한 접근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3일(현지 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말레이시아 기술무역협회(PIKOM)에 따르면, 2024년 현재 말레이시아는 총용량 504.9메가와트의 54개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021년 대비 두 배에 가까운 규모다. 현지 대기업 YTL 코퍼레이션이 건설한 275에이커(111헥타르) 규모의 새로운 데이터센터 단지는 올해 5월부터 가동될 예정이며, 최종적으로 605메1
엔비디아, 삼성 2nm 공정 평가 마무리 단계... TSMC 의존도 줄일 듯2
CME, 리플 XRP 선물 출시 임박…5월 19일 투자자 '주의' 당부3
유명 트레이더 "리플 XRP 진짜 랠리는 아직 시작도 안 했다"4
뉴욕증시 양자컴퓨팅 "돌연 급락"… 리게티 아이온큐 실적발표 충격5
엔씨소프트 기대작 '아이온2' 공식 브랜드 사이트 오픈6
미중 무역협상 진전 발표 후 비트코인 '의외의' 급락 왜?7
리플, 메타·애플 시총 넘어선다?...“XRP 25~50달러 전망” 빗발쳐8
리플 XRP 롱 포지션 급증...미결제약정 55억 달러 돌파9
SEC 위원장 대대적 규제 개편·법정 공방 종료 선언에 리플 ‘들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