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24일 시장 혼탁방지·과열경쟁 축소 차원"단통법 따른 조사 신청
SKT·KT "적반하장, 보조금 규모 비슷" 반발…일각선 '마케팅비 절감 차원' 추측
SKT·KT "적반하장, 보조금 규모 비슷" 반발…일각선 '마케팅비 절감 차원' 추측

29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지난 24일 방통위에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에 따른 실태점검과 사실조사를 신청했다.
이에 대해 LG유플러스는 "신청은 사실"이라며 "보조금으로 과도하게 시장이 혼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과열된 경쟁을 축소해 건전한 유통망을 조성하기 위해"라는 신청 이유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5G 상용화 이후 SKT와 KT에서 과도하게 불법보조금을 살포해 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통신 가입자 유치를 위한 보조금 지원은 이통3사의 마케팅의 일환으로 시행돼 왔다. 이에 한 이통사에서 다른 두 이통사를 보조금 불법 살포 실태 점검을 신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파악됐다.
LG유플러스의 실태점검 신고에 대해 SKT와 KT는 보조금 지원은 이통3사에서 비등한 수준으로 해 왔는데, 이런 신고 조치는 '적반하장'이라는 입장이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보조금 지원 규모는 3사가 비슷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5G 마케팅에 대한 방통위 경고 역시 LG유플러스는 4번, 나머지 이통사는 1번씩 받았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하반기 갤럭시 노트10과 갤럭시 폴드 등 추가 5G 스마트폰 출시에 대한 마케팅 비용에 부담을 느낀 LG유플러스가 다른 통신사들의 마케팅에 제재를 가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