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 회복탄력성 갖출 수 있는 '인프라 마련' 절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초연결 사회의 문제점이 또다시 수면 위로 드러났다. 이번엔 화재 등으로 인한 '디지털 블랙아웃'이 문제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호환성 충돌로 인한 '블루 스크린'이 이른바 IT 대란을 낳았다.소프트웨어 간 충돌은 흔하게 발생하는 일이다. 하다못해 게임에서 유저들이 자체적으로 제작한 커스텀 모드끼리 부딪쳐 게임 실행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지 않은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로 인해 전 세계가 마비에 가까운 사태를 겪었다.
마이크로소프트에 따르면 윈도우 운영체제(OS)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의 1% 미만이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번 IT 대란에서 '1%'의 파장이 상상 이상으로 심각했음을 여실히 확인할 수 있었다. 1% 미만이란 숫자는 얼핏 극소수에 국한되는 인상이나 실질적인 수치로는 850만대에 달하는 기기가 영향을 받았다
이번 사태로 전 세계 항공편의 마비는 물론 의료 서비스도 피해를 입었다. 자칫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도 발생했다. 다행히도 IT 대란으로 인한 사망자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지만 다음에도 동일할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
패치 적용 전 사전 테스트를 거치고 수차례 재확인을 거듭하더라도 유사한 사건은 언제고 반드시 발생할 것이다. 그렇다면 세계 정부와 각 기업이 해야 할 일은 하나다. 사후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번 사태는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IT 재해의 위험성을 적나라하게 경고하고 있다. 고통을 동반한 의미 있는 교훈을 얻었으니 이제는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편슬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yeonhaey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