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현지시각) 교도통신에 따르면, 히미노 부총재는 야마나시현에서 열린 금융경제간담회에서 "물가상승률이 일본은행의 예상 경로를 따른다면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해 나가는 것이 기본적인 자세"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달 일본은행이 10년 만에 금리 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히미노 부총재는 추가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서는 명확한 언급을 피했다. 그는 이달 초 급격한 주가 변동 등으로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임을 지적하며 "당분간은 시장 동향을 예의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은행은 오랜 기간 목표로 삼아온 2% 물가상승률 달성이 내년에는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히미노 부총재는 "내년부터는 드디어 오랜 기간 목표로 해온 상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일본은행은 지난달 31일 단기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으며, 우에다 가즈오 총재 역시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이에 일본 금융시장은 크게 요동쳤다. 닛케이지수는 지난 5일 4451포인트 폭락한 후 다음 날 3217포인트 급등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에다 총재는 지난 23일 국회에 출석해 "금융시장은 아직 불안정한 상황"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일본은행은 물가 안정과 금융시장 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에서 균형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