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HBM 對中 수출 반대 의사에 전문가들 "유연한 대처 필요"

글로벌이코노믹

산업

공유
0

美 HBM 對中 수출 반대 의사에 전문가들 "유연한 대처 필요"

삼성·SK하이닉스, 中 수출 비중 상당하지만 美의견 무시할 수 없어

앨런 에스테베스 상무부 산업안보차관이 10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무역안보관리원(옛 전략물자관리원) 주최 '2024 한미 경제안보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앨런 에스테베스 상무부 산업안보차관이 10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무역안보관리원(옛 전략물자관리원) 주최 '2024 한미 경제안보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미국정부 고위관계자가 인공지능(AI) 기술 대두로 수요가 늘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국에 팔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후폭풍이 거세다. 전세계 HBM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양사에 유연한 대처의 필요성을 주문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워싱턴DC 헤이애덤스 호텔에서 개최된 '2024 한·미 경제안보 콘퍼런스'에서 앨런 에스테베스 상무부 산업안보차관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생산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는 미국과 동맹국에 공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앨런 차관의 이 같은 발언에 전문가들은 반도체업계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미국에서 예전부터 반도체 관련 대중국 규제에 지속적으로 참여해달라고 요청해왔다"면서 "한국기업 입장에선 중국관련 수출을 무시할 수 없어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도 "외교적으로 물타기 전략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도래했다"면서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반중국연대에서 한국이 참여하지 않는다면 아예 고립되는 상황이 올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의 이 같은 조언처럼 미국은 반도체관련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지속적으로 높여 왔다. 2022년 미국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이 첨단 컴퓨팅과 반도체 제조 품목에 대한 대중 수출통제 강화조치를 발표한 이후 △식각장비 △노광장비 △증착장비 등 반도체 개발과 생산관련 장비들의 수출을 통제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AI반도체 수출통제 대상을 확대해 중국의 수출통제 우회로를 차단하고 나섰다.

(왼쪽부터)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이정환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 사진=각 대학이미지 확대보기
(왼쪽부터)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이정환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 사진=각 대학


문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제품 수출 비중에서 대중국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는 점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상반기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중 35.7%를 반도체부문이 차지하고 있다. 이는 대중국 수출의 3분의 1을 반도체부문에 의지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대중국 매출도 증가세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 상반기 중국 매출은 32조34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6%나 증가했고 SK하이닉스도 같은 기간 중국 매출이 121.7%나 늘었다. 아직 구체적인 지침은 없지만 미국의 요구대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대중국 수출이 금지될 경우 매출의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그럼에도 국내반도체업계는 결국 미국정부의 의견을 따를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정환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는 "미국의 반도체 수요가 상당하고 동맹국들은 미국의 요구를 벗어나기 쉽지 않다"면서 "미국에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과 보조금 이슈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미국의 의견을 배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교수는 "미국에서 이런 메시지를 공개적으로 내면서 굳이 고민할 필요가 없는 사안이 되어 버렸다"면서 "하나의 대세이고 흐름이 되면서 글로벌 무역 질서로 자리잡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최대한 이런 상황을 활용하고 최대한의 이익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종환 교수는 "외교적인 문제와 연결되면서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면서 "기업입장에서 어느 정도 실익을 챙기면서 미국의 의견도 들어주는 행동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업계관계자는 "아직 이렇다할 지침이나 관련사항이 전해지진 않았다"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용석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