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항만 노조, 1일 대규모 파업 돌입...바이든, 불개입 선언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23

美 항만 노조, 1일 대규모 파업 돌입...바이든, 불개입 선언

대선 앞두고 노조 반발 우려해 '태프트-하틀리 법' 적용 거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각) 미 항만 노조가 10월 1일부터 대규모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나 '불개입' 방침을 밝혔다. 사진은 뉴욕항의 화물 선적 모습. 사진=A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각) 미 항만 노조가 10월 1일부터 대규모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나 '불개입' 방침을 밝혔다. 사진은 뉴욕항의 화물 선적 모습. 사진=AP/연합뉴스
미국 항만 노동조합인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가 30일(현지시각)까지 사측인 미국해양협회(USMX)와 새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노조원 2만5000명이 10월 1일부터 파업에 나선다. 양측 노사 합의는 뉴욕·휴스턴·마이애미 등을 포함해 동북부 메인주에서 서부 텍사스 사이의 항만들에 적용되고, 미국 전체 항만 물동량의 약 41%가 영향을 받는다. ILA는 1977년 이후 47년 만에 파업 초읽기에 들어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9일 ILA의 파업 중단을 위해 정부가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에게 “이것은 단체 협약의 문제고, 태프트-하틀리 법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난 1947년 제정된 ‘태프트-하틀리 법에 따르면 미국 대통령이 국가가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했을 때 80일간 강제적으로 업무 복귀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오는 11월 5일로 대통령 선거가 다가온 상황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개입하면 노조원들 거센 반발에 직면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게 악재가 될 수 있다.

항만 노조는 줄곧 바이든 대통령에게 개입하지 말라고 촉구해 왔다. 로이터 통신은 이날 “동부 항만 마비 사태가 오면 미국 경제가 타격을 받을 수 있고, 백악관이 사태 조기 해결 압박을 받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항만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공급망에 중대한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특히 냉장 과일 수입, 신선육 수출 차질 등으로 인플레이션이 다시 올라갈 수 있다. 미국 항만 운송 능력이 떨어지면 화물 운임 상승 등의 파급효과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할 수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뉴잉글랜드에서 텍사스에 이르기까지 미국 주요 항만에서 10월 1일 거의 반세기 만에 파업 사태가 시작되면 대규모 상업용 화물 수송이 중단돼 대선을 몇 주 앞두고 미국 경제가 마비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WP는 “팬데믹 사태 이후 처음으로 최대 규모로 미국으로 들어오고 가는 화물 운송이 중단될 수 있다”고 전했다. WP는 “파업이 단기간에 그쳐도 몇 주 동안 공급망에 중대한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며 “자동차, 전자 제품, 식품, 가구 등이 모두 주요 항만에 묶여 있어 미국 경제에 미치는 피해액이 하루에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문가들이 추산했다”고 강조했다.

미 공화당은 대선을 5주 남겨 놓은 상황에서 벌어질 항만 노조 파업 사태를 피할 수 있도록 바이든 대통령과 백악관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라고 압박을 가하고 있다. 공화당 측은 특히 바이든 대통령이 태프트-하틀리 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어니스트 영의 그레그 다코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항만 노조 파업이 1주일가량 계속되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1%포인트가량 내려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18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내리는 ‘빅컷’을 단행하고, 추가 인하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에서 물가가 다시 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코 이코노미스트는 “항만 노조 파업 사태로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덴마크 해운 조사기관 시 인텔리전스(Sea-Intelligence)는 하루 파업의 영향을 해소하는 데 4~6일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했으며, 2주간 파업을 벌이면 올해 안으로 항만의 정상화가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에서는 마지막 대규모 항만 파업이었던 2002년 당시 서부 항만들이 11일간 운영을 멈추면서 하루에 약 10억 달러손해가 발생하고, 6개월간 물류 지연 여파가 이어졌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