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보잉 ‘35% 임금인상 합의’, 美 고용시장에도 영향 미칠 전망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보잉 ‘35% 임금인상 합의’, 美 고용시장에도 영향 미칠 전망



미국 보잉사 노조원들이 지난 12일(현지시간) 워싱턴주 렌튼에 소재한 공장에서 파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보잉사 노조원들이 지난 12일(현지시간) 워싱턴주 렌튼에 소재한 공장에서 파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보잉사의 경영진과 노동조합이 ‘35% 인금 인상’ 방안에 19일(이하 현지시간) 전격 합의하면서 노조 조합원 3만30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한 달 넘게 이어진 노조의 파업이 마무리되는 수순에 들어갔다.

보잉 노사가 이뤄낸 합의는 오는 23일로 예정된 노조원 비준 투표를 통과하는 절차만 남겨두고 있다. 앞서 보잉 노조 지도부는 사측과 25%의 임금 인상안을 잠정 타결했으나 노조원의 95% 이상이 반대해 무산된 바 있다.
합의안이 이번 투표에서는 문제없이 비준되면 보잉사에서는 임금에 관한 단체협약이 지난 2008년 이후 처음으로 바뀌는 셈이 된다.

그러나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이번 합의가 불러올 파급 효과는 보잉사는 개별 사업장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미국 전체 고용시장의 향후 흐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보잉 경영진, 노조가 당초 요구한 임금 인상 거의 수용

포브스에 따르면 보잉 경영진은 노조가 파업을 벌이기 전에 내건 요구를 사실상 거의 수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초 40%의 임금 인상을 노조가 요구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브스는 “결국 보잉 노사가 35%의 임금 인상에 합의했다는 것은 노조의 교섭력이 그만큼 강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면서 “이는 보잉사 같은 항공기 제조업체를 비롯해 일정한 수준으로 숙련 노동자들을 반드시 유지해야만 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제조업계를 중심으로 노조의 교섭권이 앞으로도 강화되면서 임금 인상 압박이 해당 제조업계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커질 수 밖에 없음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분석했다.

전문기술을 가진 숙련 노동자들을 구하는 일이 여전히 어려운 상황에서 이들을 붙잡아두기 위해서는 임금 인상 요구에 불가피하게 응하는 일이 불가피해질 것이란 뜻이자 향후 고용시장의 전반적인 추세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보잉의 합의가 미국 고용시장에도 미칠 영향…임금 인플레이션

포브스는 “임금 인상 압박이 그 어느 때보다 가중되는 ‘임금 인플레이션’의 국면이 미국 고용시장에서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에 따라 임금 인플레이션에 따른 비용 관리와 수익성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하는 부담이 재계 입장에서는 향후 주요 과제로 떠오르게 됐다”고 지적했다.

포브스는 “보잉 경영진이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를 사실상 거의 받아들인 것은 온갖 악재가 겹치면서 창업 이래 가장 큰 위기에 몰린 보잉사 입장에서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던 측면이 있다”면서 “그러나 항공업계뿐 아니라 소매업계, 의료업계, IT업계, 물류업계 등 미국 산업 전반에 걸쳐 인재 구인난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필요한 인력을 조달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임금 인플레이션의 부담을 떠안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포브스에 따르면 보잉 같은 세계적인 대기업들은 임금 인상이 부를 장기적인 파급 효과는 차치하더라도 일단 덩치가 크기 때문에 그나마 대폭의 임금 인상 요구에 당장은 응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임금 인상 여력이 없거나 적은 중소기업들의 부담이 특히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예컨대 세계 최대 인터넷 기업인 구글이나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업체인 마이크소프트(MS)와 같은 분야에서 경쟁하는 중소기업들의 경우 구글이나 MS 처럼 고액 연봉을 제시하고 고급인력을 끌어오는 것이 힘들거나 불가능한데 대기업 중심으로 임금 인플레이션 추세가 퍼지면 인재를 확보하는 경쟁에서부터 먼저 지고 들어갈 가능성이 커진다는 얘기다.

포브스는 “역대급 인플레이션이 초래한 물가 인상 대비 임금 인상 폭에 대한 불만도 업종과 분야를 막론하고 미국 기업들이 임금 인플레이션을 피해갈 수 없게 만드는 근본적인 배경”이라고 지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