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가 전체 한계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5%에 이를 정도다. 10년 전 32%에 비하면 10%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정부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제도 개편에 나선 이유다.
국내 부동산 시행사 2400개 중 연 매출 100억원 이하 기업이 95%인 점을 고려하면 향후 부실 가능성도 큰 상태다. 토지만 매입해놓고 부동산 경기 회복과 금리 인하만 기다리는 시행사들도 많기 때문이다.
은행 등 금융기관은 시행사를 대신해 건설사나 신탁사의 보증을 요구하고 있다. 시행사 대출에 문제가 생길 것에 대비한 조치다.
한마디로 시행사의 리스크가 건설사를 거쳐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다. 트럼프 2기 미국 보호주의 정책발(發)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부동산 개발사업 등의 리스크를 줄여 나가야 하는 이유다. 국내 부동산 PF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230조원에 이른다.
지난해 말 기준 예금 취급기관의 전체 기업 대출 대비 8.5%가 한계기업에 대한 여신이다.
부동산 한계기업에 대한 대출 가운데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비중은 꾸준한 증가세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2금융권 부실 위험이 가시화되는 국면이다. 한계기업은 높은 대출금리로 인해 부채를 줄이기 힘들다.
따라서 한계기업에 진입하기 이전 단계에서 차입 규모를 늘리기 마련이다. 한계기업 전 단계부터 세심한 관리를 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