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2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권 구조조정이 이어지고 있지만 매물로 나온 저축은행들이 원매자를 찾는데 실패하고 있다. 현재 매물(잠재매물 포함)로 거론되는 저축은행은 상상인과 애큐온, OSB, HB, 조은저축은행 등이다. 원래는 한화저축은행도 매물로 나왔지만, 마땅히 사겠다는 곳을 찾기 어려워 그냥 한화생명이 100% 사들이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인수금액은 1985억 원으로 계열사인 한화글로벌에셋이 보유한 6160만주다.
결국 우리금융지주는 올해 6월 1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해 우리금융저축은행의 자본을 확충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다만 정부의 전폭적인 규제 완화 지원에도 불구하고, 워낙 영업환경이 안 좋다 보니 M&A가 활성화하지 못한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작년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을 보면 서울권이 6%로 가장 낮은 반면, 광주·전라·제주가 8.1%로 가장 나쁘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올해도 나빠지는 추세인데 지난 9월 말 업계 전체 연체율은 8%대 중반 수준으로 저축은행 사태 이후 최악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서울·수도권 외에 지방에서 영업하는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연체율이 20%를 넘을 정도로 경영지표가 안 좋다”면서 “비수도권 저축은행이 대체로 수익성과 건전성이 모두 안 좋다 보니 원매자 찾는 데 어려움이 커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도 비수도권보다 수도권 매물에 관심이 더 많은 상황을 고려해 수도권 저축은행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현재 영업구역을 확대하는 수도권 저축은행 M&A가 금지해 있으나 부실 우려가 있는 저축은행에 대해선 예외적으로 가능하다. 당국 측은 BIS비율 기준을 기존 10% 이하(총자산 1조 미만은 9%)에서 상향조정해 인수 가능한 수도권 저축은행을 확대하는 방안이다.
박준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축은행 M&A 활성화를 위해 상대적으로 부진한 지방경제, 비대면 금융의 증가 등의 경영환경 변화를 고려해 저축은행 영업구역 규제를 재검토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