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에도 1460원 윗선으로 '고공행진'
수입물가 부추겨 국내물가 자극 우려
"경기 위축 우려돼"…불확실성 해소가 관건
원·달러 환율이 1460원 선을 오르내리며 불안정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그나마 국민연금 환헤지 물량 공급과 연금과 외환 당국 간의 외환스와프 계약으로 일정 수준의 상단을 붙잡고 있다. 수입물가 부추겨 국내물가 자극 우려
"경기 위축 우려돼"…불확실성 해소가 관건
고환율이 예상보다 장기화되자 내수와 경제 전망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관측됐다. 환율 안정화를 위해선 국내 경제의 최대 숙제로 꼽히는 트럼프 정권 불확실성과 국내 정치 리스크가 시급히 정비돼야 할 전망이다.
14일 서울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원·달러 환율 주간 거래는 1465.0원으로 개장해 1463.2원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날 1470.8원으로 주간 거래를 마치면서 2주 만에 1470원대 종가를 찍었다.
한국은행 지표에 따르면 종가 기준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연간 1300원대를 유지하다가 도널드 트럼프 당선 후 ‘강달러’가 힘을 받자 1400원대를 돌파, 계엄·탄핵 정국 이후 1410원대 밑으로 내려오지 않고 있다. 특히 신년에는 1450원 선을 웃돌며 고공 행진 중이다.
실제로 고물가에 지갑을 닫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100.7)보다 12.3포인트(p) 급락한 88.4를 기록했는데, 지수가 100을 밑돌면 소비자의 기대 심리가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아울러 이 같은 소비심리 하락 폭은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3개월간 –9.4p)보다 큰 규모다.
기업도 마찬가지 동향을 보였다. 제조업 및 비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는 지난해 12월 탄핵 정국 당시 70에서 60으로 낙폭이 컸다. KDI는 “내수 부진으로 기조적 물가 상승세 둔화 흐름이 계속됐고, 최근 소비심리 위축은 향후 추가적인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환율이 안정되려면 국내외 불확실성 해소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탄핵 정국으로 원화가 약세인 상태에서 오는 20일 출범하는 도널드 트럼프 정권의 관세 전략이 ‘강달러’를 부추기면 경제 근간이 더 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동헌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트럼프 정부는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는 보호무역과 이에 따른 보편적 관세 등으로 대미 수출 비중이 높고 수출 중심의 성장을 지속하는 한국 경제에 적지 않은 부담을 줄 것”이라며 “경제의 온기가 식어가고 잠재성장률이 지속 하락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제약은 국내 경기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여야는 내수 부양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추경(추가경정예산) 필요성’과 ‘예산 조기 집행’을 두고 여전히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예산 조기 집행으로 경제 상황을 점검한 후, 선제적으로 추경 논의를 시작하겠다”는 취지로 추경을 사실상 거절한 반면,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힘겨운 내수시장을 심폐소생 하려면 추경이 불가피하다”고 맞섰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