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건설사들, 동아프리카 철도망 장악 가속화..."광물자원 확보 교두보"

글로벌이코노믹

中 건설사들, 동아프리카 철도망 장악 가속화..."광물자원 확보 교두보"

탄자니아-부룬디 21.5억 달러 철도 수주...니켈 운송 길 열어
전문가들 "가격·실행력 경쟁자 없어...동아프리카 네트워크 주도"
중국 건설사들이 동아프리카 철도 시장을 장악하며 전략 광물 확보에 나섰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건설사들이 동아프리카 철도 시장을 장악하며 전략 광물 확보에 나섰다. 사진=로이터
중국 건설사들이 동아프리카 철도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며 전략 광물 확보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고 있다. 지난주 중국철도공정그룹과 중국철도공정설계자문그룹 컨소시엄은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과 부룬디 니켈 광산을 잇는 21.5억 달러 규모의 철도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282km 구간의 이 철도는 연간 300만 톤의 광석 운송이 가능하다. 부룬디는 1억8500만 톤의 니켈 매장량을 보유한 세계 10대 니켈 보유국 중 하나다. 니켈은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핵심적인 전략 광물이다.

탄자니아철도공사의 마산자 쿤구 카도고사 사무총장은 "이 철도가 궁극적으로 탄자니아, 부룬디, 콩고민주공화국을 연결하게 될 것"이라며 킨샤사-기테가 구간 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이미 동아프리카에서 대규모 철도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케냐 몸바사-나이로비 구간(50억 달러),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지부티 구간(45억 달러)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중국 정부 자금이 아닌 프로젝트 수주도 늘고 있다. 탄자니아에서만 6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따냈다.
알리 칸 사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리경제 분석가는 "이 철도들의 궁극적 목적은 동아프리카 광물을 세계 시장과 연결하는 것"이라며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스텔렌보스대학 팀 자존츠 연구원은 "터키 야프 메르케지를 제외하면 중국 기업의 경쟁자가 거의 없다"며 "동아프리카 표준궤철도 네트워크가 미완성이어서 중국 건설사들이 계속 진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철도 건설은 최근 아프리카개발은행의 자금 지원으로 이뤄지고 있다. 자존츠 연구원은 "이는 중국 정책은행들의 신중한 대출로 생긴 자금 공백을 메우는 것"이라면서도 "중국수출입은행과 중국개발은행이 아프리카 철도 시장을 포기한 것은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중국토목건설공사(CCECC)와 중국철도건설(CRCC)은 2021년 므완자-이사카 구간(13억 달러), 2022년 506km 구간(22억 달러) 등을 연이어 수주했다. CCECC는 또한 잠비아 구리벨트와 다르에스살람을 잇는 1860km 타자라 철도 재건에도 1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