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저축은행, 2년 연속 적자…순손실 규모는 1800억 축소

글로벌이코노믹

저축은행, 2년 연속 적자…순손실 규모는 1800억 축소

저축은행중앙회 “부실채권 감축 노력 불구 부정적 영업환경 지속”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사진)이 2024년 저축은행 결산 실적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저축은행중앙회 제공.이미지 확대보기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사진)이 2024년 저축은행 결산 실적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저축은행중앙회 제공.
저축은행 업계가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작년 순손실 규모만 4000억 원에 가까이 된다.

금융감독원이 21일 발표한 ‘2024년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손실은 총 3974억 원으로 집계됐다.

저축은행은 2023년에도 5758억 원의 순손실을 낸 바 있다. 작년에 손실 규모는 다소 줄었다.

저축은행의 작년 말 기준 연체율은 8.52%로 전년 말(6.55%) 대비 1.97%포인트(p) 상승했다. 2015년 말(9.2%)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4.53%로 전년 말(5.01%) 대비 0.48%p 하락한 반면, 기업대출은 12.81%로 전년 말(8.02%) 대비 4.79%p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 또한 10.66%로 전년 말(7.75%)보다 2.91%p 상승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부동산 경기회복 지연 및 거래자 채무상환 능력 저하 등 부정적 영업환경이 지속되고 있어 부실채권 감축을 위한 자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연체율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업권이 손실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저축은행들의 자기자본비율은 15.02%로 전년말(14.35%) 대비 0.67%p 상승해 규제비율(7~8%)을 상회하고 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이날 영업실적 설명회에서 “작년 3분기는 약간 흑자가 났고, 4분기에는 충당금 확대로 다시 적자가 나는 등 실질적으로는 작년 상반기에 마이너스는 끝났다고 본다”며 “당분간 플러스, 마이너스 등 그렇게 의미 있는 숫자는 나오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을 포함한 상호금융조합의 경우 작년 1조556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그러나 규모는 전년(2조382억 원) 대비 -48.2% 급감해 절반 가까이 축소했다.

신협의 경우 3419억 원의 순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고, 수협의 순손실은 2725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