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 여파가 장기화될 경우 타격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7일(이하 현지시각) 이같이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북미 최대 민간 부문 노조인 북미철강노동조합의 마티 워런 이사는 “지금까지 캐나다 내 조합원 약 200명이 이미 해고됐다”고 밝혔다. 이 노조는 캐나다에만 22만5000명 이상의 조합원을 두고 있다.
직격탄을 맞은 기업 중 하나인 캐나다메탈프로세싱그룹은 지난달 24일 “미국의 철강 및 철강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 위협이 영향을 미쳤다”며 직원 140명 감원을 발표했다. 회사 측은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이번 감원은 정리해고와 임시 해고, 근무시간 단축, 조기 퇴직 등이 혼합된 형태”라며 “신규 채용도 동결했다”고 밝혔다.
온타리오주에 위치한 알고마스틸도 관세 여파로 27명을 감원했다. 마이클 가르시아 최고경영자(CEO)는 “현재까지 약 20명을 해고했으며 새로운 캐나다 내 고객을 확보하지 못하면 추가 감원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밝혔다.
워런 이사는 “하나의 일자리를 잃는 것만으로도 큰 타격”이라며 “다음달 2일 추가 관세가 발효되면 그 영향은 더 광범위하게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미국·멕시코·캐나다 3자 자유무역협정(USMCA)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에 대해 30일간 유예된 조치가 끝나면 최대 10만명에 달하는 조합원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같은 상황은 현장 노동자들에게 불확실성과 경제적 압박으로 이어지고 있다. 온타리오 동부 이바코 공장에서 파쇄기 조작원으로 일해온 스콧 노스워디는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관세 소식이 갑자기 닥쳤고 공장도 가동을 멈췄다”며 “이번 주는 청소나 유지보수 작업만 할 예정이고 이후 일정은 전혀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두 살배기 딸을 둔 아버지로서 “매주 일할 수 있을지 아닐지조차 예측할 수 없어 혼란스럽다”고 토로했다.
이같은 현실 속에서 워런 이사는 해고자들에 대한 고용보험 혜택 확대와 직업 재훈련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캐나다 정부는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마크 카니 총리는 총선을 불과 며칠 앞둔 지난주 고용보험 조기 수령을 허용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이달 초 연방정부는 기업 대상 수십억달러 규모의 지원 프로그램과 함께 근무시간이 줄어든 직원들에게 고용보험을 제공하는 ‘워크쉐어 프로그램’도 도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같은 조치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캐나다 아트킨슨재단의 노동전문가 아르민 야르니지안은 “선거 기간 중에는 의회가 열리지 않아 일시적 시범사업 형태로는 제도 개선이 가능하지만 이를 상시화하려면 입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용 관련 시민단체인 노동자행동센터의 디나 래드 사무국장도 “철강·알루미늄 산업과 연관된 중소 하청업체, 수출입 업계에서 이미 해고 사례가 나오고 있다”며 “상황이 하루가 다르게 악화되고 있다. 불확실성이 고용주와 기업에는 물론, 노동자들에게 훨씬 더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