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머스크 "테슬라도 트럼프 관세 여파에서 자유롭지 않아"

글로벌이코노믹

머스크 "테슬라도 트럼프 관세 여파에서 자유롭지 않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로이터
미국 최대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동차 수입 관세 확대 정책의 여파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주장했다.

27일(이하 현지시각)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머스크는 전날 X에 올린 글에서 “테슬라가 관세로부터 아무런 피해도 입지 않는 것은 아니다”면서 “관세로 인한 영향은 여전히 상당하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다음달 3일부터 미국 외 지역에서 조립된 모든 승용차 및 경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자동차 부품 역시 동일한 대상이지만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체결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산 부품에 대해서는 오는 5월 3일까지 한시적으로 유예하기로 했다.

이같은 발표 이후 미국 내에서 차량을 생산하는 테슬라가 수혜를 입을 것이란 기대감이 일각에서 제기됐지만 머스크가 직접 진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는 종종 자사 차량이 '가장 미국산 비중이 높은 차'라고 주장해 왔으나 실제로는 상당수 부품을 중국, 유럽 등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미국에서 생산하는 테슬라 차량에는 멕시코산 부품이 20% 이상 사용되고 있으며 캐나다산 부품도 일정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캐나다에서는 테슬라의 제조 장비 중 상당 부분이 생산되고 있다는 점도 영향을 키운다.

미국 정부는 내달까지 차량 부품을 세분화해 어느 정도까지 미국산 비중을 갖췄는지를 판단한 뒤 미국산 부품만을 면세 대상으로 하고 나머지에는 25% 관세를 매기겠다는 방침이지만 업계에서는 한 달 내 이를 명확히 구분해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회의적인 시각이 우세하다.

일렉트렉은 “북미 자동차 공급망은 매우 복잡하며 한 부품이 멕시코와 캐나다, 미국을 여러 차례 오가기도 한다”며 “미국 정부가 이를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또 이같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따라 캐나다 등에서 보복 관세가 나올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으며 머스크 CEO가 트럼프 대통령과 매우 가까운 관계라는 점에서 테슬라가 특정 국가에서 표적이 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 관세 정책은 미국 소비자들의 차량 구매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테슬라 또한 원자재 및 부품 비용 상승에 직면해 차량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몰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