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난·쓰촨 등 지방정부, 대규모 소비 촉진 자금 투입
대미 수출 타격 대응책으로 "국민 소비 신뢰 회복" 주력
대미 수출 타격 대응책으로 "국민 소비 신뢰 회복" 주력

남부 하이난섬은 14일 대규모 소비재 박람회를 개최하며 해외 소비자 유치에 나섰다. '중국 국제 소비재 박람회(China International Consumer Products Expo)'로 명명된 이 행사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의 프리미엄 소비재 전시회다. 6일간 진행되는 이번 박람회에는 70개국 이상에서 4100개가 넘는 브랜드가 참가해 패션, 디지털, 건강, 친환경 소비재 등 다양한 프리미엄 소비재를 선보인다.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열린 이번 박람회는 중국의 소비 촉진 정책 기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국영 매체 이코노믹 데일리는 "국민의 자신감과 지출 의지를 강화하기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며 "이러한 자신감이 번화한 쇼핑 현장으로 이어질 때 중국 경제는 더 큰 회복력과 활력을 얻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이난성은 내수 진작을 위해 2025년부터 2027년까지 100억 위안(약 1조8000억 원)이 넘는 재정 기금을 조성해 저금리 소비자 대출 보조금 등 소비 확대 정책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쓰촨성 역시 이달 초 자동차, 전자기기, 가구, 가전제품 등 대형 가정용품 구매를 위한 소비자 대출에 보조금 이자율을 제공하는 정책을 내놓았다. 쓰촨성 주민들은 4월부터 9월 사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해당 상품을 구매할 경우 1인당 최대 2개의 대출을 신청할 수 있다.
중국 상무부는 다른 5개 주요 기관과 함께 부티크 쇼핑, 고급 요리, 문화 관광, 공연 분야를 겨냥한 "중국 쇼핑" 캠페인을 시작했다. 중국 외교부도 대외 무역 기업들이 국내 시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국적인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이러한 정책 드라이브는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다. 미국은 올해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 인상하여 총 실효 관세율을 약 156%까지 끌어올렸다. 이에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1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맞대응했다. 이러한 고율 관세로 인해 많은 중국 기업들이 미국 시장 판매가 사실상 불가능해진 상황이다.
지난달 중국 중앙정부는 경제를 소비 주도 성장 모델로 전환하기 위한 포괄적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임금 인상, 농촌 소득 증대, 지불 지연 문제 해결, 부동산 시장 안정화 등의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화에 대비해 내수 시장을 강화하려는 중국 정부의 장기적 전략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러한 소비 진작 정책이 단기적으로는 경기 부양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장기적인 구조 개혁과 함께 진행되어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악화된 고용 시장과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