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노조 5개 지회 투표서 잠정 합의안 추인
지난해 9월 임단협 시작된 이후 약 7개월 만에 합의
장기화한 갈등에 깊어진 노사 간 불신 해결 나서야
지난해 9월 임단협 시작된 이후 약 7개월 만에 합의
장기화한 갈등에 깊어진 노사 간 불신 해결 나서야

15일 철강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노조 5개 지회(인천·당진·순천·포항·하이스코)는 10~14일 조합원 찬반 투표를 통해 노사 잠정 합의안을 추인했다. 앞서 현대제철 노사는 임금 10만1000원 인상, 성과급 '기본급 450%+1050만원' 등 평균 2700만원 지급을 골자로 하는 2024년 임단협 잠정안에 합의했다. 기존 회사의 제시안에서 임금을 추가로 올리고 성과급도 50만원 증액했다.
이들은 지난해 9월부터 임단협 교섭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성과급 지급 규모를 두고 갈등을 빚어왔다. 이에 노조 측은 부분 파업에 나섰고 사측은 냉연 공장의 전처리 설비(PL/TCM)에 대한 부분 직장 폐쇄 조치로 맞대응했다.
양측이 반 년 넘게 이어진 갈등을 봉합하기로 한 것은 철강 업계를 둘러싼 경영 환경이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한국 철강 산업은 중국 업체들의 저가 제품 공급 과잉, 미국의 수입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등이 맞물리며 벼랑 끝에 서 있다. 협상이 장기화할 경우 모두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며 더 이상 싸우기보다는 힘을 합쳐야 한다고 뜻을 모은 것이다.
다만 아직 풀어야 할 과제는 남아 있다. 단순히 지난해 임금 협상이 타결됐지만, 양측 불신은 여전히 크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미국 투자 등 중장기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이를 우선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현대제철은 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관세 25% 부과에 대응해 총 58억달러를 들여 미 현지에 일관 제철소를 짓기로 했다.
노조 한 관계자는 "사실 임단협이 너무 길어지니 다들 지쳤다. 더러 포기한 분도 더러 있다"며 "회사가 챙겨주는 모습이 있었다면 애사심이 이렇게까지 바닥을 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투자도 국내에 대해서는 개선이나 투자가 전혀 없는데, 미국에 투자한다고 하니 고용 등 직원들의 불만이 크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사측과 노조 측이 이번 갈등을 계기로 원만한 관계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원만하게 관계를 바꿔나가야 한다. 우선 이번 분규에 대한 학습 효과를 해야 한다"며 "(이번 노사 갈등으로 인해) 서로 각자가 치른 비용이 크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그것이 출발점"이라고 조언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