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가 행정부의 반유대주의 대응 요구에 불응했다며 강도 높은 조치를 예고했다.
BBC에 따르면 크리스티 노엄 국토안보부 장관 이날 낸 성명을 통해 “하버드대가 반유대주의에 굴복하고 있으며 국가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하버드 측에 유학생 비자 소지자의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행위’에 대한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올해 하버드대의 전체 등록 학생 중 외국인 유학생 비율은 27%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버드대 측은 즉각 반발했다. 앨런 가버 하버드 총장은 지난 14일 학교 커뮤니티에 보낸 메시지에서 “대학은 독립성과 헌법상 권리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압력에 굴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하버드는 더 이상 훌륭한 대학이 아니며 연방 자금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하버드는 증오와 어리석음을 가르치는 곳”이라며 “세계 유수의 대학 목록에서 제거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미 연방정부는 하버드에 대한 연방 기금 22억 달러(약 3조1000억 원)를 이미 동결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에 더해 하버드가 누려온 비과세 혜택을 철회하겠다고 시사했다. CNN에 따르면 미 국세청(IRS)은 현재 하버드의 비영리 기관 자격 박탈을 검토 중이다.
미국 세법상 대통령이 국세청 조사에 직접 개입하는 것은 법적으로 금지돼 있지만 IRS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직후 움직이기 시작했다. 전임 오바마 행정부에서도 IRS가 정치적 편향 논란에 휘말린 바 있어 이번 사안이 정치적 논란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하버드대는 이달 초 중동연구센터 책임자를 경질하는 등 일부 조치를 취했지만 여전히 백악관의 요구 사항을 모두 수용하지는 않은 상태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를 비롯한 약 60개 대학에서 발생한 친팔레스타인 시위가 반유대주의로 이어졌다고 보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대학의 다양성 정책 폐지와 입시 및 고용 자료 제출 등을 요구하고 있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와 같은 엘리트 대학을 보수주의자들에게 적대적인 공간으로 규정하며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며 “이런 압력은 연방 자금과 세금 혜택을 무기로 삼아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