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뉴스룸서 '모두를 위한 AI' 설명
설계부터 당사자 의견수렴…협업도 모색
설계부터 당사자 의견수렴…협업도 모색

이 상무는 18일 장애인의 날(20일)을 앞두고 삼성전자 뉴스룸과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 "제품 AI 기능의 발전과 함께 나와 내 가족 그리고 공간을 이해하는 '인-홈'(In-Home) 경험을 제공해 가사 활동의 완결형 자동화를 지향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삼성전자의 '모두를 위한 AI'는 일상에서 누구나 기술의 혜택을 자연스럽게 이용하는 것"이라며 "제품 각각의 기능이 연결로 확장되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상황에 상관없이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제품 버튼에 촉각 스티커를 붙이거나 접근성 사운드를 넣고, 휠체어에 앉아 팔을 뻗어도 닿는 위치에 조작부에 배치하는 등 다양한 장애 유형에 맞춘 솔루션을 적용 중이다. 2025년형 비스포크 AI 가전 신제품에 탑재된 '빅스비'는 목소리를 식별하는 보이스ID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맞는 접근성 설정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상무는 "제품 설계 단계에서부터 다양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은 물론 사용자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아이템을 발굴하고 있다"며 "더 나은 경험을 위해 대내외 전문 집단·기관과의 협업도 계속해서 모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음성 안내, 시인성 개선을 위한 스크린 가전의 접근성 기능은 오는 6월 발효되는 유럽접근성법안에도 부합하도록 준비 중이다. 아울러 장애인 임직원과 임직원의 장애인 가족으로 구성된 '삼성 패밀리 서포터즈', 올해 출범한 디바이스경험(DX)부문 임직원 리소스 그룹 '접근성 ERG' 등 임직원 참여를 통해 접근성 강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글로벌 고객 대상 AI 기반 시각보조앱 '설리번 플러스'를 개발한 '투아트'(TUAT)와 시각장애인 전용 모드를 도입했고, 부착식 손잡이 보조 기기 등을 개발하기도 했다고 이 상무는 소개했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