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일간의 임시 세이프가드 관세 발효, 트럼프 관세 이후 첫 주요 무역 정책 변화
값싼 중국산 철강 급증에 인도 제철소 경영난 심화, 정부 보호 조치 시행
값싼 중국산 철강 급증에 인도 제철소 경영난 심화, 정부 보호 조치 시행

이번 관세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25년 4월 중국과의 무역 전쟁을 격화시키며 광범위한 관세를 부과한 이후 인도의 첫 번째 주요 무역 정책 변화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인도 재무부는 공식 명령을 통해 21요일부터 200일 동안 이번 관세가 유효하며, 별도의 취소, 대체 또는 수정 조치가 없을 경우,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인도 정부가 자국 철강 산업을 수입 급증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고, 시장 내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인도 철강부 장관 H. D. 쿠마라스와미는 성명을 통해 "이번 조치는 국내 철강 제조업체, 특히 수입 증가로 인해 막대한 압박에 직면한 중소기업에 중요한 구제책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이번 관세 부과가 국내 철강 산업의 회복과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인도로의 값싼 철강 수입 문제는 이미 수년 전부터 제기되어 왔으며, 이번 관세 부과에 대한 조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산 철강재가 인도 시장에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일부 인도 제철소들은 생산량을 줄이거나 인력 감축을 고려하는 등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해 왔다. 인도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이번 관세 부과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인도 정부의 관세 부과는 주로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회계연도 기준으로 중국은 한국에 이어 인도에 두 번째로 많은 철강을 수출한 국가이다. 인도 시장에서 중국산 철강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인도 주요 제철소의 한 고위 임원은 이번 관세 결정에 대해 "예상했던 대로 내려진 조치이며, 이제 이 법안이 어떻게 업계와 마진을 지원하고 값싼 수입을 제한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직간접적으로 중국산 수입품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덧붙여, 이번 인도 정부의 조치가 자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철강 시장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쳤다.
잠정적인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는 2024-25년 회계연도에 2년 연속 철강 완제품 순 수입국을 기록했으며, 수입량은 950만 톤으로 최근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인도 국내 철강 생산만으로는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하는 동시에, 저가 수입품이 국내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는 우려를 뒷받침하는 수치이다.
JSW스틸과 타타스틸 등 인도 주요 철강 업체들을 회원사로 두고 있는 철강업체 단체 역시 정부에 수입 철강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수입 규제를 촉구해 왔다. 이들은 값싼 수입품으로 인해 국내 시장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이는 결국 국내 철강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이번 인도 정부의 중국산 철강에 대한 관세 부과는 자국 철강 산업을 보호하고, 국내 시장의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단호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이번 조치가 인도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과 중국 측의 대응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한 관찰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관세 부과가 단기적으로 국내 철강업체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입 가격 상승으로 인한 국내 제조업체의 비용 증가와 소비자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정부가 이에 대해 보복 조치를 취할 경우 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 정부의 이번 결정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값싼 수입품의 공세 속에서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보호 조치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향후 200일 동안 이번 관세가 인도 철강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인도 정부가 추가적인 무역 정책 변화를 모색할지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또한, 중국 정부의 대응 방식과 글로벌 철강 시장의 변화 역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정부의 이번 강경한 조치가 자국 철강 산업의 회복을 이끌어내고, 더 나아가 인도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