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영국의 국가 사이버보안조직은 현지시간 5일 공동성명을 통해 특정 국가 정부가 배후로 의심되는 해커들이 연구기관과 제약회사 등을 공격해 코로나19 대응 정보를 불법 입수하려 한다고 경고했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00506050518073869ecba8d8b8617764132.jpg)
미국과 영국의 국가 사이버보안조직은 5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특정 국가의 정부가 배후로 의심되는 해커들이 연구기관이나 제약회사 등을 공격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정보를 불법으로 입수하려 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경고한 것은 영국의 국가 사이버보안센터(NCSC)와 미국의 사이버보안 인프라보안청(CISA)으로 관여가 의심되는 국가는 거론하지 않았지만, 미국과 영국의 당국자 각 1명씩이 익명을 조건으로 “이번 경고는 중국과 이란의 해커가 의심되는 부정 접속행위 및 러시아와 관련된 것으로 의심되는 활동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란, 중국, 러시아 정부는 지금까지 반복해 해킹 행위에의 관여를 전면부인하고 있으며, 오히려 자국이 공격을 받고 있다고 하고 있다. NCSC와 CISA는 해커 집단은 (소속된 나라의) 국가 우선 사항에 근거해 개인정보의 집적, 지적재산권, 기밀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공격을 하는 경우가 많다며, 예를 들어 국가 또는 국제적 수준의 의료보건정책이나 코로나19에 관한 기밀정보 등을 수집하려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 코로나19 감염 확대로 ‘텔레 워크’가 확산되면서 보안 취약성이 찔릴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공동성명에 대해서는 해커 집단 및 공격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조직에 경고하는 것으로 특정 공격이 새롭게 확인된 것은 아니라고 했다. CISA 대변인은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는 조직이 공격의 표적이 되는 것은 특별히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김경수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ggs07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