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챔스 신입생들이 날개를 펼치는 공간이 된 LCK 아레나 경기장
[글로벌이코노믹 김인별 기자] 지금 e스포츠에서 ‘LoL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이하 LCK)’ 열풍이 불고 있다. LCK는 흔히 ‘롤챔스’로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세계 최정상급 '리그오브레전드(LoL)' 프로선수들이 출전해 전세계적으로 e스포츠 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대회다.2019 롤챔스는 현시각 30경기가 진행된 가운데 18경기가 매진됐으며, 특히 두터운 팬층을 소유한 팀인 'SKT T1'은 43경기 연속 매진이란 쾌거를 이뤘다. 더불어 게임트릭스가 발표한 1월 4주차 PC방 점유율 순위를 따르면, ‘리그 오브 레전드’의 전체 점유율은 31.58%로 26주 연속 1위를 달성했으며 이는 전 주 대비 사용시간 8.43%가 증가한 수치였다. 이러한 인기는 롤챔스가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올해 롤챔스는 이전의 롤챔스와는 다르다. 그것은 바로 롤 전용 경기장인 ‘롤파크(LoL Park)’에서 최초 개최된다는 것. 롤파크는 서울 종로 ‘그랑서울’ 3층에 있으며 작년 9월, 리그오브레전드 제작사인 라이엇게임즈가 직접 제작한 경기장이다.


물론 국내 첫 원형경기장이기에 모든 선수가 어색해 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러나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중요했던 것일까? 지금까지 포스트 시즌 다섯 석을 지키던 전통의 강호들이 이번 롤챔스 스프링에선 신입생들에게 맥을 못추고 있다. 기존의 팀들보다 평균적으로 어린 나이로, 변칙적이고 도전적인 플레이를 보여주는 ‘그리핀’, ‘샌드박스 게이밍이’ 단독 1, 2위를 달리고 있다.
지금 롤챔스에는 세대교체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그리핀과 샌드박스 게이밍은 변화에 익숙한 젊은피들이다. 기존의 강호들이 다시 예전의 명성을 찾기 위해선 맞닥뜨린 어색함에 빨리 익숙해지고 새로움을 추구해야하는 전환점에 도착했다. 이 변화의 흐름을 제대로 읽는 팀이 어느 팀일지, 반대로 도태되는 팀은 어느 팀일지 기대된다.
김인별 기자 dlsquf716@g-enews.com